2024.04.24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정부지원은 신약강국 위한 마중물”

국내 제약산업 특징 십분 활용해 신약개발의 글로벌 허브 돼야…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산∙학∙연∙정 협력으로 1차 개발된 기초∙원천 기술에 2차적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신약을 탄생시키는 글로벌 허브로서의 역할을 국내 제약산업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은 지난 23일 개최된 ‘제2차 서리풀 미래약학포럼’에서 ‘신약강국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원 회장은 “한국은 글로벌 임상의 요충지”라며 국내 제약산업의 특장점을 나열했다. 원 회장에 따르면 한국의 임상 인프라는 전 세계 10위권으로, 특히 서울은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기준으로 서울의 경우 도시별 임상 건수가 전 세계 1위, 임상 참여센터 수는 전 세계 2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임상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원 회장은 또 다른 특장점으로 우수한 신약개발 기술력을 꼽았다.


그는 “현재 전 세계에 7,000여 개의 신약 파이프라인 중 약 1,000여 개를 국내사가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합성신약보다 개발 면에서 난이도가 높은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자가줄기세포 치료제인 ‘하티셀그램’, 동종줄기세포 치료제인 ‘카티스템’, 지방조직이용 줄기세포 치료제인 ‘큐피스템’ 등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단시간 동안 많은 성과를 거두며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뒤이어 원 회장은 국내 제약산업의 한계점으로 ‘뒷심 부족’을 지적했다. 원 회장은 “국내 제약산업은 우수한 신약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초∙원천 기술 단계에서 다국적 제약사에 라이센싱 아웃을 하는 등 신약 상품화 단계까지 이어가질 못한다”고 설명했다.


원 회장은 이런 뒷심 부족의 원인으로 원천적인 성장동력의 부족을 꼽았다. 국내 제약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2.13%에 불과하다. 시장 점유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규모의 경제 면에서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인 것이다.


실제 한 다국적 제약사의 1년 R&D 투자액이 국내 전체 제약산업의 1년 매출 규모와 맞먹을 정도로 규모 면에서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하지만 원 회장은 신약강국 벨기에의 예를 들며 이런 한계를 극복할 방안을 제언했다. 벨기에는 정부 차원의 제약산업 육성에서 성공을 거둔 나라로, 제약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정부의 R&D 투자와 제약산업에 대한 세제지원, 그리고 행정절차의 간소화는 벨기에 제약기업의 임상 전문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는 곧바로 글로벌 제약기업들의 투자로 이어졌다. 글로벌 상위 30개 제약사 중 29개사가 벨기에에 R&D 센터 지사를 설립했으며, 결과적으로 벨기에 제약산업의 규모를 확대시키는 성과를 낳았다.


원 회장은 “이런 부분에서 정부의 R&D 투자 확대는 필수”라고 강변했다. 벨기에와 같이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이 바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약산업 발전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원 회장은 최근 면역함암제 분야에서 일명 “잭팟”을 터뜨린 BMS의 ‘옵디보’를 예로 들며,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다국적 제약사의 투자와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옵디보’는 일본의 오노제약과 교토대학이 공동 연구하여 기초∙원천 기술을 개발한 후 글로벌 제약사인 BMS가 전략적 라이선스 및 공동 연구 계약을 통해 상품화해 성공시킨 ‘블록버스터’다.


원 회장은 “국내에서 산∙학∙연 협력으로 1차 개발된 기초∙원천 기술에 2차적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도 정부의 지원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외국 기업이 국내 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거쳐야 할 행정 절차나 세금 관련 문제를 정부가 지원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AI의 적극적인 활용 또한 강조했다.


원 회장은 “얀센이나 화이자, 테바 등이 이미 신약개발 과정에 AI를 접목시키기 위해 AI 기업들과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며, “국내 제약사들도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인 ‘AI’,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신약개발에 접목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하며, 정부는 제약산업에 활용 가능한 ‘빅테이터’ 플렛폼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