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PCI 센터 사각지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치명적!

김병옥 교수, “심뇌혈관센터 지원삭감 지속 시 2005년으로 되돌아갈 것”

정부가 국내 주요 사망원인인 심뇌혈관질환을 국가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년)을 수립하여 예방과 치료, 응급대응 등 관리체계 구축에 예산을 투여하고 있지만, 급성 심근경색과 같이 적절한 응급치료가 지연됐을 경우 생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PCI 센터 투입 예산은 점점 축소되고 있어 사각지대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2일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김병옥 교수는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역 진료권 PCI 의사 및 병원 부족과 정부 예산 삭감으로 심혈관질한 국민안전망이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매년 2만 명 이상 발생하는 급성 심금경색 환자의 생사 여부는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를 골든타임 내에 받았는가에 의해 갈린다.


학회는 심혈관 응급상황 발생 시 180분 안에는 PCI를 시행 가능한 의료기관에 도착해야 하지만, 국내 전국 권혁심뇌혈관센터를 대상으로 환자의 사건 발생 후 도착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균 232분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지역별 의료기관 접근성 격차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차이가 2배가량 지속되며, 접급성이 열악한 사각지대에서의 심뇌혈관 사망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고령화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를 관리하기 위해 2017년 ‘심뇌혈관지리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이 법에 따른 최초의 법정 계획으로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를 위해 지난 9월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개최, 5개 추진전략과 14개 중점과제를 마련했다.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예방부터 치료, 관리에 이르는 전주기적 관점의 국가적 관리가 시행되어, 질환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은 물론 고위험군 관리와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 등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김병옥 교수는 “국가 차원의 종합계획에도 불구하고 심뇌혈관질환의 국가책임 안전망이 구축되기는커녕, 기존의 열악한 여건에서도 지역사회 안전망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던 권역심뇌혈관센터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예산 감소와 더불어 2019년 정부 예산의 대폭 삭감은 심뇌혈관 안전망을 더 이상 유지하지 못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회 측 설명에 따르면, 첫 권혁심뇌혈관센터 지정 시 60억을 지원하며 심뇌혈관질환 진단과 치료관리에 필요한 각종 의료장비 지원을 했던 정부는 그 다음부터 애초 예상 필요경비인 20억의 70%인 14억을 지원했지만, 이후 삭감이 지속되며 9억으로 줄었고, 2019년에는 3억 3천만 원만을 지원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예상 유지비용 20억에서 정부지원을 뺀 나머지가 전부 병원의 몫으로 바뀌며, 더 이상 심뇌혈관센터 운영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병옥 교수는 “이런 지원금 삭감이 계속된다면 최악의 경우 2005년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 높다”고 경고했다.


학회는 의료 관계 인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심뇌혈관센터가 기피 1위 분야로 꼽혔다고 전하며, 주 52시간 근로 기준 적용도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현재 국내에는 전국 14곳의 권혁심뇌혈관센터가 있으며, 80여 곳 정도의 PCI 인증 시행기관과 그 외 중개기관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