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이 재정 악화를 호소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구했다.
먼저 충남대병원은 대전·세종 권역거점병원이자 국립대학교병원으로서 지역의료의 중추 역할을 맡고 있는 충남대병원과 세종충남대병원이 재정 악화로 경영의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세종충남대병원은 개원 과정에서 발생한 차입금과 ▲코로나19 장기화 ▲지속되고 있는 전공의 부재로 인해 재정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충남대병원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재정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지원은 없는 상황에서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증·응급·분만·소아 등 지역필수의료의 원활한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토로했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완성을 위해 정부계획에 따라 설립된 세종충남대병원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 정주여건 향상을 목적으로 2020년 7월 16일에 개원해 세종시 핵심의료기관으로서 중증·응급·소아 등 필수의료뿐만 아니라 총 31개 진료과 및 10개 전문센터를 운영해 지역주민들에게 최고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공급해왔다.
그러나 금리상승으로 인한 건립차입금 이자 부담 증가(이자율 `18년 2.7%→ `24년 4.9%), 코로나19 사태, 세종시 인구수 증가 둔화 등으로 인해 매년 적자가 누적돼 개원 이후 4년간 누적 2073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상황이다.
충남대병원은 “세종 분원으로 2023년까지 1261억원 운영 자금(전입금) 지원을 하고 있으나 올해 예기치 못하게 발생한 전공의 부재로 인한 입원·외래·수술건수 감소에 따라 본원의 수익도 크게 감소해 추가 전입금 지원은 불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세종 분원 개원 및 운영을 위한 ▲시설 차입금 3074억원 ▲단기운영자금 550억원 ▲마이너스 한도 대출 600억원 등 총차입금 규모는 4224억원으로, 국립대학교병원 중 가장 많으며, 월평균 의료수익 감소액은 100억원을 넘어서 본원의 자금 사정도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충남대병원은 “충남대병원 본원은 이러한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자구책으로 비상진료체제 2단계 시행을 통해 ▲무급휴직(휴가) 사용 장려 ▲병동 및 센터 통폐합 확대 ▲직책보조비 100% 감축 등 다양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으나, 전공의 부재로 인한 수익 감소로 인해 한계를 드러내며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는 세종충남대병원도 마찬가지인 상황으로, 경영 정상화를 위해 인력 감축과 조직 축소 개편을 통한 업무 효율화를 비롯해 예산 감축 조정 등 각고의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세종시 핵심 필수의료를 책임지고 있는 ▲응급의료센터 ▲소아응급의료센터 ▲신생아중환자실 ▲심뇌혈관센터 등의 세종충남대병원 4개소에 대한 2023년 결산결과 67억원의 손실이 발생돼 현 상태로는 지속 운영이 어려운 상황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충남대병원은 “충남대병원 본원과 세종충남대병원 분원 모두 직면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와 지자체의 도움이 절실하다”면서 “세종 분원 건립 차입금과 운영자금에 대한 지원금이 시급히 투입되어 지역필수의료의 원활한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상황만큼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는 지역사회와 의료계의 공통된 견해이며, 이를 위해 충남대학교병원이 정부와 지자체 및 국회에 요청하는 사항으로 세종 분원 건립 차입금 중 병원 건립사업 투자 재원 마련을 위해 조달한 장기(시설)차입금 원리금에 대한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세종충남대병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개원 후 2023년까지 발생된 당기순손실 및 향후 발생될 운영자금에 대한 지원도 반드시 필요하며, 국회의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개정과 보건복지부의 지역필수의료 인프라 유지를 위한 보다 과감한 재정투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충남대병원은 “작년부터 시행한 긴축재정과 경영개선의 노력의 결과로 의료수익 목표 달성률이 올 1월 104%에 이르며 개선의 희망을 보였지만 전공의 사태 이후 수익이 지속 하락해 자금 사정이 급속도로 악화됐다”면서 “특히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없이는 세종충남대학교병원에서 공급하고 있는 세종시 주민들을 위한 핵심 필수의료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고, 정부와 지자체의 자금 지원이 조속히 이뤄져 지역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희망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