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로봇을 이용한 돼지의 담낭을 절제하는 수술이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진행됐다.
한양대학교 ‘차세대 지능형 수술시스템 개발 센터(소장 김영수)는 2일 오후 1시 학교 HIT 6층 소회의실에서 ‘제1차 국제 원격로봇 수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한양대학교 HIT 회의실에서 열린 수술 심포지엄은 원격로봇수술을 위해 영상의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과 의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일본의 종 수술로봇에게 원격으로 보내주는 주 로봇을 설치했다.
이 수술은 돼지 담낭절제술로 집도는 하시즈메 교수(규슈대학교 일반외과), ‘차세대지능형 수술시스템 개발센터’에서는 전반적인 주 로봇을 관리하고 로봇시스템은 일본의 미쯔이 교수(동경대학교) 제작으로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는 일본 규슈대학교내 동물수술실에서 시미즈 교수가 종 로봇을 맡아 원격수술이 진행하게 됐으며 한일간의 네트워크 관련 기술은 한양대학교 전자공학부 박용진 교수팀과 한국통신, 일본측 통신회사에서 맡아 진행됐다.
이 로봇 수술은 미세 침습 수술시 의사를 보조해 정교한 수술을 함으로써 환자의 수술 후 고통과 합병증 및 후유증을 최소화하며 원격 수술을 가능토록 만들었다.
김영수 소장은 “원격수술은 다빈치라는 수술 로봇으로 미국과 프랑스간에 인간 담낭절제술을 한 보고가 있으며 이는 대서양을 건너 두 나라 사이에 장거리를 극복한 원격수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이전의 원격의료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가장 큰 특징은 원격로봇수술에서는 delay와 jitter가 아주 큰 문제가 될 수 있어 수술실내 환자의 상태 및 환부 촬영 영상이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집도의에게 전달된다”고 밝혔다.
또한 “동시에 집도의의 손의 움직임으로 주 로봇을 조정한 결과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종 로봇을 움직여야만 하며 만약 이 사이에 시간차가 많아 종 로봇의 움직임이 실제 상황을 못 따라가게 되면 실패할 수도 있다”고 설명하면서 “네트워크의 속도 및 주 로봇과 종 로봇간의 정확한 데이터 전달이 필수적이며 로봇의 메커니즘도 정확한 움직임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수 소장은 “이번 수술은 임상에서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을 시도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밝히고 “아시아를 잇는 광케이블은 한국과 중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간의 원격수술을 이루어 국제적인 수술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했다. (www.medifonews.com)
박지은 기자 (medifojieun@paran.com)
200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