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의학상, 하우센(獨) 바레-시누시, 몽타니에(佛)

2008-10-06 22:14:10

자궁경부암-AIDS 관련 바이러스 발견 공로


올해 노벨의학상은 독일의 하랄트 하우센, 프랑스의 프랑소와 바레-시누시, 역시 프랑스의 뤽 몽타니에 등 3인이 공동수상하게 됐다.

스웨덴 스톡홀름의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올해 생리의학상의 수상자를 발표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암연구센터의 하랄드 하우센((Harald zur Hausen, 72세)은 자궁경부암을 야기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es)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절반(1/2)의 수상자로 결정됐다.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바레-시누시(Françoise Barré-Sinoussi, 61세)와 역시 프랑스의 세계 에이즈 연구-예방기금의 몽타니에(Luc Montagnier, 76세)는 AIDS를 일으키는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를 발견한 공로로 공동 수상의 영예를 안아, 각각 1/4의 수상자로 결정됐다.

HPV 발견한 하우센 박사
하우센 박사의 업적은 암중 세계 처음으로 자궁경부암의 원인질환인 HPV(인유두종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처음으로 암예방백신을 개발하는데 큰 단초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노벨의학상을 수상하게 됐다.

자궁경부암은 여성암중 2위인 다빈도 암으로, HPV 바이러스 발견 이후 가다실, 세바릭스 등 예방백신까지 개발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HIV 바이러스 발견한 바레-시누시 박사와 몽타니에 박사
바레-시누시 박사와 몽타니에 박사는 성매매와 수혈 등이 발병원인임을 규명하고 이 바이러스를 세계 처음으로 혈액에서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AIDS는 전세계적으로 증가추세인 주요 감염질환으로 변역체계가 파괴되어 가는 병이다. 이러한 바이러스를 규명해 냄으로써 이후 AIDS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을 주었기에 이들의 수상은 인류의 바이러스 정복을 위한 큰 업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창훈기자 chkim@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