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장기 복용, 유전성 장암환자에 예방 효과

2011-12-05 06:07:29

장암 예방에 아스피린 일반적 사용 권장 가능성 보여…

영국 뉴캐슬대학의 번스(John Burns) 교수가 아스피린을 하루 2정씩 2년간 장기 복용한 결과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의 장암 발생 위험이 사용하지 않은 비교 집단 보다 무려 60%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고 발표해 주목된다.

영국 의학학술지(the Lancet)에 게재된 연구보고 내용에 따르면 이들 연구진은 무작위 비교시험으로 아스피린의 암 예방 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즉, 유전적으로 암이 발생하기 쉬운 소위 린치 증후군(Lynch syndrome)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이 증후군은 1,000명당 1명에서 발생하며, 절반이 암으로 주로 장과 자궁에서 발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피린 투여로 10,000명의 암 예방에 1,000건의 궤양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1999-2005년 사이 린치 증후군 환자 861명을 대상으로 매일 아스피린 600mg과 맹약을 2년간 투여한 결과, 2007년 분석에서는 두 집단 간의 암 발생률에 차이가 없었으나, 2010년에는 아스피린 투여 집단에서 장암이 19건 발생한 반면 맹약 집단에서는 34건이 발생했다.

2년간 총 참가자 중 60%인 완전 참가자는 그 효과가 현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즉, 맹약 집단의 장암 발생률이 63%인 반면 아스피린 집단은 10명에 불과했다.

왜 아스피린이 장암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지는 알 수 없으나, 지연된 효과로 볼 때 아스피린이 암 전구세포로 변이되기 이전에 손상된 줄기세포에 작용하기 때문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찬(Andrew Chan) 박사와 MD 앤더슨 암센터의 리프만(Scott Lippman) 박사는 본 연구 관찰에 대해 매우 흥미롭다고 밝히고, 개별 환자의 위험성을 근거로 하여 일반적으로 아스피린을 장암 예방에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김윤미 기자 kym@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