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57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김 종 우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망막센터 Jong-Woo Kim, M.D. & Ph.D. Division of Retina, Dept. of Ophthalmology, Kim’s eye Hospital,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안내염이란 안구내에 병원균이 침입하여 증식함으로써 발생하는 염증반응으로 결국 안내 모든 조직을 파괴시켜 실명을 초래하는 병이다. 크게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나눌 수 있고, 외인성은 다시 수술 후에 발생하는 경우와 수상 후에 발생하는 경우로 나눠볼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안내염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수술 후 안내염(postoperative endophthalmitis)이며, 이 중 90%이상은 bacteria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fungi, protozoa, parasites, viru
배 동 한 순천향대 의대 천안병원 산부인과 Dong-Han, Bae, M.D. & Ph.D.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Soon Chun Hyang Chunan University Hospital, Soon Chun 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일상 사회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나 흔히 위생적 문제를 야기시키는 불수의적인 배뇨현상으로서 그 원인에 따라 Urge, Stress, Mixed, Overflow, Functional type등이 있다. 이중 긴장성 요실금(Urinary Stress incontinence : STI)은 요도 괄약근의 부적합에 의해 기침, 재채기, 폭소등 급작스런 복강내 압력 상승시 detrusor muscle 수축 없이 방광내 압력이 최대 요도 압력보다 초과할때 초래된다. 요실금의 원인은 골반저 지지 기능 약화를 유발하는 다인성 요인으로 유전적 요인, 부인과 수술력, 질식분만. 신경손상, 흡연. 비만. 내과적 요인 및 요도괄약근의 내적 결함등이 원인
김 병 호 경희의대 경희대병원 내과 Byung-Ho Kim,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간질환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에 이어 5번째 사망 원인이며, 40대에서는 암에 이어 2번째이고, 특히 40대 남자는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여자의 9배에 이르고 있다1). 이들의 상당수는 만성 간질환에 의하는데, 만성 간질환의 원인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의한 경우가 반 수 이상으로 가장 많다2). B형 간질환은 지난 90년대 활발한 예방접종으로 많이 감소되었고, 새로운 간염 치료 항바이러스제인 라미부딘이 도입되어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게 희망을 주기도 하였으나 아직도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대체 또는 보완할 만한 약제가 소개되고 있다. 만성 간염은 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간경변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박 철 희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비뇨기과 Choal - Hee Park, M.D. & Ph.D. Dept. of Urology, Dongsan Medic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어디 낯설은 곳에 가게 되면 화장실을 자주 찾게 되거나, 자다가도 한 두 번은 꼭 일어나서 소변을 누게 되었을 때, 비뇨기과 의사라면 중년의 시작임을 재빨리 감지하게 된다. 게다가 발기력도 예전 같지 않고 , 주위 영향이나 신체적 상태, 예를 들면 음주 후나 과로했을 경우, 아예 성적 충동 뿐만아니라 발기 자체가 마음 같지 않게 떨어졌을 경우, 세월의 나락을 느끼게 될 것이다. 조선시대 만해도 인생 50이라고, 60세 이상은 환갑잔치를 할 만큼 드물고 경사였으나, 현대는 인생 80, 욕심 같아서는 인생 100을 기대할 만큼 장수의 시대가 되었다. 한국에서도 고령화 사회를 예측해야하고 실버산업과 의료보건 분야에 각별한 연구와 투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비뇨기과 영역은 떠오르는 관심의 초점이 되는 질환인 배뇨장애와 성기능장애가 삶의 질이라는 관
홍 성 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 Sung-Joon Hong, M.D.& Ph.D. Dept. of Urology, Severance Hospital,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에는 대부분 평활근의 이완 작용을 하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또는 전립선 증식을 차단하는 5-알파환원효소억제제(5-alpha reductase inhibitor)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를 이용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원인은 성 호르몬, 다양한 성장인자 및 간질-상피 상호작용 등 여러 가지로 제시되고 있으며, 노화 및 고환에서 분비되는 안드로겐은 전립선비대증의 발생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전립선비대증은 나이에 따라 진행되는 질환으로 전립선 용적의 변화는 배뇨증상, 요속, 잔뇨 및 급성요폐의 발생 등과 관련이 있다. 전립선내 5-알파환원효소의 역할 혈중 자유형 테스토스테론은 확산에 의해 전립선세포로 들어온
양 대 열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 비뇨기과 Dae -Yul Yang, M.D. & Ph.D. Dept. of Urolog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남성의 성기에서 이루어지는 발기 현상은 음경해면체의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의 이완 현상으로 심혈관계 현상의 일부이다. 따라서 비만,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은 동시에 발기부전의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고혈압, 심부전, 죽상동맥경화증, 흡연, 당뇨병 등의 질환은 혈관의 내피세포에 산화성 스트레스를 더하게 되고 그 결과 내피세포의 기능부전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런 혈관내피세포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일어나게 되면 이것이 곧 발기부전이다. 그러므로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발기부전 유병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심장병, 고혈압, 당뇨, 지질장애
김 제 종 고려의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Je-Jong Kim, M.D. & Ph.D. Dept. of Urology, Anam Medical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발기부전증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남성으로서의 자신감 상실, 배우자와의 갈등, 심리적 좌절감 등의 문제로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꼭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음경의 발기는 성적인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신경계와 혈관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나타나며,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발기부전의 치료는 지금까지 음경해면체내 발기약물 주사법, 음경보형물 삽입술 등의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환자자신에게 침습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배우자나 성적 파트너 입장에서도 성적인 자극이 아닌 인위적인 발기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여 성욕이나 성감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복용약물과 같은 비침습
김 영 삼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과 Young-Sam Kim, M.D. & Ph.D. Division of Pulmo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기침은 때로는 증상이 심각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차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나 호흡기전문의사를 찾는 원인 중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이다. 기침치료는 지침대로 치료를 한다면 대부분이 치료가 가능하다. 만성 기침의 원인은 88~100%정도 찾을 수 있고, 원인에 따른 치료를 한다면 84~98%정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특이적으로 기침만 억제하는 약물만 사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기침의 원인
박 창 규 고려의대 구로병원 순환기내과 Chang-Gyu Park,M.D.&Ph.D. Division of Cardi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Guro Hospital,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997년 미국 고혈압학회( JNC) 6차 보고 이후 6년만인 2003년 5월에 JNC 7차 보고가 발표되었다. JNC 7차 보고는 새로운 고혈압 분류(특히 preclinical hypertension)와 사실상 고혈압 1차약제로 thiazide diuretic를 추천함으로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보다 한달 뒤에 유럽 심장-고혈압학회(ESH-ESC) 공동의 고혈압 치료를 위한 지침서(guideline)가 발표되었다. 사실 그동안 유럽 고혈압 학회는 특별한 고혈압 치료 지침서가 없었고 1999년 발표된WHO-ISH의 guideline을 따랐는데 금번 최초로 독자적인 지침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유럽 고혈압학회의 새로운 guideline이 탄생한 배경  
이 방 헌 한양대 의대 서울병원 심장내과 Bang-Hun Lee, M.D. & Ph.D. Division of Cardi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고혈압에 의한 사망률의 추이 한국인의 사망원인에 관한 2000년의 통계청 자료를 보면 심혈관계질환에 의한 사망은 인구 10만명 당 123.2명으로 종양에 의한 사망(124.2명)과 함께 가장 많은 원인이 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여전히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또 심혈관계질환 중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은 10만명 당 1989년에는 37.3명, 1991년에는 29.9명, 1994년에는 25.8명이며 1998년에는 8.4명 그리고 2000년에는 8.9명(표 1)으로 최근에는 현저히 감소하여 10년 전에 비하면 약 70% 이상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률의 감소는 고혈압의 발생률이 실질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판단하기보다는 의사들에 의한 고혈압
박 승 철 고려의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Seung-Chul Park, M.D. & Ph.D.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ept. of Internal Medicine, Anam Hospital, Korea Universir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무더운 여름이다. 더위를 피해 산으로 바다로 여행을 다니다가 한두 번쯤은 갑자기 찾아오는 배앓이에 고생했던, 그리고 더군다나 온가족이 배를 움켜쥐고 길가에 세운 차 옆에서 동동거리는 모습은 즐거워야 할 피서에 좋지 않은 기억의 절편을 남기고는 한다. 또한 오랜만에 잔치집에서 만난 친지들이 복통과 설사로 응급실에 단체로 몰려들어 잔치가 난장
강진형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종양내과 Jin-Hyoung Kang, M.D. & Ph.D. Dept. of Medical Onc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진 단 대장암이 의심되면 1) 수지직장검사(digital rectal examination), 2) 대변잠혈검사, 3) 대장내시경검사, 4) 의심되는 병소부위의 생검이 일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외과적 절제 전에는 정확한 병의 진행상태를 알기 위해 병기결정이 필요한데, 1) 흉부 X-선, 2) 복부 및 골반 CT scan, 3) 혈액검사, 4) 간·신장기능검사, 5) 소변검사, 6) 혈중 CEA(Carcinoembryonic antigen)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 외에 satunomab 펩타이드, CEA 항체를 이용한 Immuno-scint
김 동 석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Dong-Seok Kim, M.D.& Ph.D. Dept. of Neurosurgery,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사람의 중추신경계는 크게 뇌와 척수로 나눌 수 있는데 뇌는 두개골로 보호되어 있으며 척수는 사지로 가는 신경섬유가 모여 있는 곳으로 척추 뼈로 둘러 싸여 있다. 뇌와 척수는 뼈 외에도 경막과 지주막이라는 여러가지 막으로 보호되어 있으며 경막 안쪽에는 뇌척수액이라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완충역할을 하고 있다. 척수 수막류(myelomeningocele)란 척수를 보호하는 척추 뼈와 경막이 선천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아 부분적으로 결손이 있고 그 결손 부위를 통하여 척추강 내에 있어야 할 신경조직이 척추강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척수 수막류는 척추 뼈,
홍 순 조 가톨릭대 의대 여의도성모병원 혈관센터소장 Soon-jo Hong, M. D. Director, Candiovascular center,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심장의 심박수, 리듬에 변화가 오고, 심장흥분파의 시작부위가 바뀌며, 심장의 전기전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통털어 부정맥이라고 한다. 심박수가 늦어지거나, 빨라지거나, 심방, 심실에서 조기 수축하거나, 심전도에서만 감별할 수 있는 이상소견이 있는 등의 변화가 온다. 이때 환자는 가슴이 뭉클하거나 두근거림을 느끼며 때로 가슴에서는 전혀 증상이 없이 갑자기 실신하는 등의 변화가 올 수도 있고,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그동안 부정맥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않았고, 간혹 부정맥은 심장 돌연사와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임상의들에게 부정맥은 뜨거운 감자 같은 존재일 수 있다. 진단을 위한 접근방법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는 의용전자공학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 10여년 사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하여 과거에는 명확치 않던
김 세 철 중앙의대 용산병원 비뇨기과 Sae-Chul Kim, M.D.&Ph.D. Dept. of Urology, Yongsan Hospital,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발기부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기 때문에 진단을 위한 검사와 치료는 환자가 원하는 치료방법,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 치료동기, 치료후의 결과에 대한 기대치 등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먹는 약만 원하는 환자에게 경구용 약물에 효과가 없는 경우 발기유발제의 음경해면체내 주사에 의한 약물발기검사는 필요 없을 것이고 다른 치료법을 강요해서도 안되며, 혈관수술을 원치 않는 환자에게 동맥조영술 등의 침해적 검사를 할 필요는 더욱 없는 것이다. 진 단 발기부전의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이나 검사의 순서는 통일된 것이 없으나 기본 검사실 검사 이상의 검사목표는 1차적으로 심인성과 기질성을 감별진단하는데 두어야 하며, 아직 완벽한 진단방법은 없으므로 시행한 모든 검사를 종합하여 임상진단을
유 희 탁 분당 제생병원 병원장 Hee-Tak Yoo, M.D. & Ph.D. Superintendent P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상처 봉합술 상처를 봉합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복합사 사용하는 법(Suture), Staples, Skin tape, Skin clips, Wound adhesives 이중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복합사 사용 봉합술에 대해 기술하겠다. 1.Suture needle에 연결된 봉합사로 피부 edges를 봉합하는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1)흡수되는 복합사 catgut, polyglycolic acid(Dexon),polydioxanone(PDS), Polyglactin-910(Vicryl)등이 있다. Dexon, Vicryl: 크롬믹 보다 강하고 매듭(Tie)이 확실 하다. 조직 반응이 적다. Dexon: tensile strength가 30일
김 동 희 단국대 의대 마취통증의학과 Dong-Hee Kim,M.D. & Ph.D. Dep. of Anesthesiology, Cheon An Hospital,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수술 후 오심구토(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는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을 받는 환자의 40%, 부인과 수술 환자의 72%, 소아 사시교정술 환자의 41~88%, 균형마취 환자의 38.1%, 복강경 수술 환자의 40~77%에서 발생된다. 그러나 PONV는 이렇게 높은 발생률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무관심과 환자들의 인식부족으로 그 발생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약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사용에 대하여 인색하거나, 잘못된 선입견을 갖고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
보건복지부는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검사업무를 1일부터 실시하기로 하고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을 위탁기관으로 지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2001년도에 CT와 유방촬영용장치중 노후장비를 대상으로 일제 검사(영상검사)를 실시한 결과, 검사대상장비의 22.3%, 48.4%가 부적합장비로 나타나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복지부는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특별법에 특수의료장비의 등록 및 품질관리 등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올해 1월부터 특수의료장비에 대한 등록업무를 시작하였으며, 그간 품질관리검사기관 지정, 관련규정 정비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여 품질관리검사 업무를 12월 1일부터 실시하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특별법에 따르면 따르면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검사 내용은 1년마다 실시하는 서류검사와 3년마다 실시하는 정밀검사로 구성되며, 특수의료장비를 등록·설치한 의료기관의 개설자 등은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통보한 검사일정에 따라 품질관리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 12월1일 이후 등록한 신규장비는 등록 후 품질관리원의 현지조사에 의한 설치시 정밀검사를 받아야
민 용 기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Yong-Ki Min,M.D.& Ph.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골질(bone quality) 변화와 골다공증 골절 발생 골다공증은 골격강도(bone strength)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된 골격질환으로 정의되며, 골격강도는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와 골질(bone quality)에 의해 결정 된다. 이중 골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골격의 미세구조, 골교체율, 누적된 골조직 손상, 무기질화 등이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질의 두 요소의 변화로 정의되어 있으나 임상에서 이용되는 세계보건기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은 골밀도 측정치로만 이루어져 있다.
2003년 건강검진 결과 수검자 중 63%의 건강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3일 2003년도 건강검진 결과를 보고했다. 이 보고에 따르면 건강검진 대상자 11,564,102명 중 48%인 5,551,178명이 건강검진을 받았으며, 이중 건강이 양호한 사람은 약 2백만명(37.4%)이었으나, 질환을 보유중인 사람이 약 29만명(5.2%), 식생활습관과 환경개선 등 자기관리 및 예방조치가 필요한 사람이 1백 9십만명(35.3%),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사람이 3십2만5천명(5.9%), 기타 질환의심자 9십만명(16.2%)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과 유질환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흡연량이 많고 흡연기간이 길수록 유병률이 높았다. 비흡연자는 1만명당 유질환자가 479명, 하루 흡연량이 반갑 미만에서는 517명이었으나 두갑이상에서는 772명으로 1.6배가 높았다 5년미만 흡연자는 1만명당 유질환자가 414명이었으나 30년이상 흡연자는 835명으로 2배나 많았다. 담배를 피우다 끊은 사람은 1만명당 유질환자가 604명으로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에서 579명보다 많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