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가 의료 서비스를 혁신하는 솔루션으로 안착하기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활용이 필요하며, R&D나 시범 사업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의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도록 연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등장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지난 9일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비대면 의료 적용 방안 탐색’을 위한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번 웨비나는 그 동안 진흥원에서 지원한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원격협진 등 비대면 의료 관련 시범사업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적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일차의료기관 만성질환자 디지털 헬스케어 활용’에 대해 발표한 서울의대 조비룡 교수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디지털 헬스 기술이 일차의료의 질과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례들이 많이 보고됐다”며, “디지털 헬스 기술들을 활용해 우리가 기존에 일차에서 잘 하지 못했던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들이 코로나19 때 급작스럽게 들어왔음에도 많은 보완 역할을 해줬다”고 설명했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김유석 교수는 ‘디지털 솔루션 활용 정신건강관리 서비스 모델 개발‘ 주제 발표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발달하면서 정신건강 영역에도 기존의 비대면 화상진료, 상담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진단 및 치료 서비스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날 연자들은 공통적으로 비대면 의료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도 대면 진료를 온전히 대체하기엔 부족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비룡 교수는 “만성질환 관리에 있어서 비대면 또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만, 기존의 대면 진료와 같은 효과를 온전히 나타내긴 힘들다”며 “좋은 기술이 많지만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데 중간중간 빠진 부분이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들이 개발돼야 기존의 대면 진료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리터러시(literacy, 문해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만성질환으로 많은 피해를 보는 고령층이나 교육수준이 낮은 분들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낮아 디지털 케어의 활용도와 만족도가 낮다”면서 “비대면 서비스가 필요한 계층, 관리를 잘 받아야 하는 계층이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제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추가 수가를 주거나 기술개발에 대한 자가부담을 줄이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유석 교수는 “의료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기술적인 측면도 진일보해 제공자와 사용자가 편하게 쓸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현재 사용 중인 병원 정보 시스템과 최근 정부에서 구축한 ‘마이 헬스웨이’ 시스템이 기술적으로 잘 연동되지 않아 표준화가 필요하고, 보안 때문에 내부망을 사용하는 병원도 있으니 국가 차원에서 기술적 부분에 대한 시범 사업과 제도 등을 뒷받침해야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제대로 잡힐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림동탄성심병원 이성호 원장은 ‘원격협진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시범 운영사업’에 대한 결과를 공유하며 “뇌졸중이나 근골격, 외상 환자를 제외하고 환자를 대면해 신체검사를 하거나 촉진을 해야 하는 경우 외에는 웬만하면 현재 IT기술로 거의 다 해결된 것 같다. 지금 해결되지 않는 여러 신체검사 종류도 향후 IT기술이 발전하면 자연히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원격협진 시 안전성과 관련해선 “시스템이 좋고 의료기관 사이 협업 네트워크가 잘 형성돼 있으며, 의료진의 의지가 충분하다면 원격 협진으로 환자가 더 위험해지거나 안전성이 떨어질 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러한 신기술 도입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 혁신에 대해 “무작정 혁신만 주장하면 어디로 흘러갈지 모르니 정부 등에서 혁신 방향의 가이드를 확실히 줘야 한다”고 강조하며,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참여자들이 의지가 없으면 성공할 수 없으니 참여자들을 설득하고 참여시키는 것도 혁신 기술을 만드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진흥원 연미영 팀장은 “디지털 헬스 역량은 환자의 비대면 진료 만족과 디지털 기반의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과 활용 시 환자의 디지털 헬스 역량 강화를 위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연 팀장은 이어 “그런 부분과 관련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인 조사도 별로 없다. 국가 단위의 연간 조사를 통해 어떤 계층이 소외되고 있고, 그들이 어떤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며 “소외계층에게 비대면 의료 사업들이 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앞으로 시범 사업 진행 시 디지털 헬스케어 실태조사가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