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8년 고려대학교의료원이 100주년을 맞는 가운데, 동탄에 개최될 4번째 병원을 비롯해 인재양성, 스마트 초정밀의학 등 다양한 전략과 함께 중증질환의 거점에서 미래의료 허브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했다.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윤을식)이 27일 전문지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중증난치성질환 치료와 초정밀 미래의학에 집중하는 ‘2028 미래혁신 대전환’을 발표했다.
고려대학교의료원은 의료계 최초로 안암, 구로, 안산병원 3곳 모두 연구중심병원 인증을 획득하며 국내 유일 복수 연구중심병원 체제를 구축, 연구와 임상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더해 고려대학교의료원은 미래 병원으로 동탄에도 네 번째 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며 스마트 의료기술과 환자 중심의 혁신적 병원 모델을 구현해 중증난치성질환 치료에 특화된 ‘제4차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윤을식 의료원장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시작해 2035년 무렵 병원이 완공될 전망이다.
특히 윤을식 의료원장은 “취임 시 제일 중요시했던 부문이 인재양성으로, TFT를 구성하기도 했다. 제4병원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인재채용”이라고 강조했다.
윤 의료원장은 “최근 GTX가 개설돼 출근시간이 단축되는 만큼 외부 의사영입에 있어 접근성을 강조할 수 있다. 10년 후의 문제이기는 하나, 내부 인재 투입에 있어서도 타 병원들처럼 단계적인 증원 방식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의료원은 지난해 보건복지부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사업에 참여해 중증희귀난치성질환 치료 ‘치료 종결기관’ 역할을 맡아 차별화된 상급종합병원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고대의료원은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의료정보시스템과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도입했으며, 최신 로봇수술기기 ‘다빈치 5’를 활용한 세계적 수준의 수술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밀의학,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데이터 등 4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30여개 첨단 연구시설과 R&D 센터를 운영 중이며, 2021년 설립된 정릉 메디사이언스파크와 ‘정몽구 미래의학관’을 통해 백신 및 신약 개발 연구를 선도한다. 특히 미국 모더나와 협력한 mRNA 백신 개발과 WHO가 지정한 한타바이러스 연구를 수행하며 백신주권 확보와 연구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미국 존스홉킨스대, 예일대와 협력을 강화하고, 2023년 국내 최초로 ACGME 국제허브로 지정돼 의사 수련의 질을 높이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빅데이터와 AI 기반 의료 데이터사이언스 교육도 운영 중이다.
장학금 지원 정책도 펴고 있다. 의료원 김학준 의학연구처장은 “고려의대 졸업자뿐만 아니라 타 대학을 졸업했더라도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다니는 의료원 선생님들께는 학자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어느 대학 출신이든 앞으로의 가능성이 보이는 분들께는 얼마든지 투자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전공의가 복직했을 때를 대비해 다양한 전략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원 김학준 의료연구처장은 “전공의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업무량도 줄이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공의들의 이탈로 각 병원에서 진료지원간호사를 채용한 경우가 많은데, 평등한 관계이지만 상하관계로 업무를 진행해야 하기도 하는 상황인 만큼 이에 대한 준비도 하고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고대구로병원 민병욱 원장 역시 “전공의들이 복귀하더라도 이전에 근무하던 형태로 업무를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복귀를 하더라도 주72시간 근무, 24시간 연속근무들이 다 제한되는 환경이다. 때문에 일부 진료지원간호사들의 업무는 같이 공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병원에서도 이에 대비해 간호사들에 대한 교육이나 전공의 복귀 시 두 직군간의 갈등요인 해결방법 등에 대해 고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윤을식 의료원장은 “고대의료원이 초정밀 의료와 혁신 연구를 통해 KU Medicine을 글로벌 탑티어 메디컬 브랜드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