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회장 설양조)가 지난 11일 학회 역점사업을 소개하는 하반기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대한치주과학회는 10월 25~26일 양일간 ‘제65회 종합학술대회’를 오스템임플란트 마곡 사옥에서 개최하는 것을 알렸다.
이번 종합학술대회의 주제는 ‘치주치료 전문가를 위한 네 번의 기회(Four opportunities for experts in periodontal treatment)’로, 빠르게 변화하는 치의학 환경 속에서 치주치료전문가들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네 가지 핵심 가치인 ▲창의성(Creativity) ▲효율성(Efficiency) ▲일관성(Consistency) ▲끈기(Tenacity)를 ‘네 번의 기회’로 정의하고 각 기회를 심도 있게 탐색하는 네 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된다.
10월 25일(토) 오전에는 각 수련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임상과 연구분야의 결과에 대한 구연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오후 진행되는 심포지엄1에서는 ‘새로운 선택의 기회(창의성, creativity)’라는 주제로, 환자의 심리적 케어 전략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주질환 관리, 그리고 환자가 원하는 치료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한다.
이어지는 심포지엄2 ‘선두가 될 기회’에서는 ‘효율성’을 핵심 키워드로, 부족한 골과 연조직 환경을 극복하는 최신 임상 술기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10월26일(일) 오전에는 Young speaker & lnternational speaker session과 ‘Inspiration and Recognition Session’이 각각 대강당 및 세미나실에서 동시에 진행돼 일본, 몽골의 해외연자의 강연과 다수 연자들의 연구내용을 주제로 강연이 펼쳐진다.
이어지는 심포지엄3 ‘지속적 선두유지의 기회(일관성, Consistency)’에서는 임플란트 주위유지관리 프로토콜부터 흡수된 치조골에 적용하는 예측 가능한 임플란트 치료법까지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노하우가 공유될 예정이다.
마지막 심포지엄4 ‘역전의 기회’는 ‘끈기를 주제로 두 개의 파트로 나뉘어 진행된다. Part 1에서는 치주 재생치료와 임플란트를 위한 골재생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며 Part 2에서는 자연치아 보존위한 도전과 붕괴된 치주조직에서 회복전략, 그리고 퇴축된 연조직 치료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법 등 고난도 증례를 극복하는 심도 깊은 강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대한치주과학회 김성태 학술이사는 “이번 65회 종합학술대회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임상과의 연결성’이었다. 단편적인 지식 나열을 넘어, ‘선택, 효율성, 일관성, 끈기’라는 네 가지 핵심 가치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또한 종합학술대회의 전통으로 자리잡은 ‘가치공감 토크콘서트’가 올해에도 개최될 예정이며, 치주과 수련 지원자들(학부생, 인턴 및 공보의)에게 치주과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대한치주과학회 설양조 회장(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주과학교실)은 “이번 학술대회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모든 치주치료 전문가들이 임상 현장에서 마주하는 고민을 함께 나누고 미래를 항한 새로운 영감과 해법을 찾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 개최 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 날 학회는 ▲대한치주과학회 심화교육 프로그램 ▲2026년 잇몸의 날 행사 기획 ▲2026년 대한치주과학회 국제학술대회(UPIS Evidence-Based Symposium: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종합학술대회 이후에도 3차 학술 집담회와 각 지부별 집담회가 예정돼 있으며, 온라인 소식지를 발간해 학회의 소식을 대외로 알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