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질방 다녀온 후 피부 매끈거리는 이유는?

2013-11-13 06:33:41

땀과 함께 노폐물 빠져나가…피부보호막 파괴주의


최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피로를 풀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우나나 찜질방을 즐겨 찾는다.

한참 땀을 흘리면 피부가 촉촉하고 매끈해지며 개운한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찜질방을 다녀온 후 피부가 매끈거리는 이유는 땀을 흘리면서 피부의 죽은 각질과 모공이 열리면서 노폐물이 땀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도하게 각질층을 제거할 경우 상피세포까지 떨어져 나가고 피부보호막이 파괴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장시간 고온의 열에 노출되어 밀폐된 공간에 있게 되다보면 피지 분비량이 증가하고 피부 속 수분이 빠져나가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너무 잦은 찜질은 피해야 한다.

피부를 보호하면서 찜질방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키면서 하는 것이 좋다. 우선 찜질을 할 때는 15분~20분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세안 시 때수건으로 피부 각질을 세게 문지르는 것은 금물이다.

또 찜질을 하고 나서는 수분공급과 피부진정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더운 열기로 인해 모공이 열려 있어 팩의 성분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기 좋은 상태가 된다. 수분 팩을 통해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도 한 방법. 피부 진정을 위해 차가운 수건을 얼굴에 대어 열기를 식혀주거나 수렴 화장수 등으로 진정 시켜주는 것도 좋다.

그 밖에 찜질하는 중간에 물을 섭취 하면 수분을 보충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과한 수분 증발로 생기는 탈수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물을 마실 때는 너무 차가운 물보다 약간 미지근한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다.

그랜드피부과 이지영 원장은 “사우나나 찜질방을 이용하면 40~50도 이상의 고온에 피부가 노출되는데 이러한 온도는 피부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된다”고 말했다.

뜨거운 열기는 피부 속 수분을 흡수해 피부 탄력도 빼앗고 주름을 발생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지영 원장은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고열이 직접 닿지 않도록 얼굴이나 머리 등에 수건으로 감싸는 것도 피부 예방에 도움이 된다. 초겨울 건조한 날씨에 푸석거리는 피부로 찜질방을 자주 찾는다면, 메디컬 수분케어를 받는 것도 한 방법이 된다”고 조언했다.




배준열 기자 jun@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