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학자와 공학도들이 합작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을 이용, 첫 원격수술을 시연에 성공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희대 테크노공학대학 김윤혁 교수팀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로봇수술센터 나군호(비뇨기과), 형우진(외과)교수팀은 지난 10일 세브란스병원 수술실에 위치한 조종간을 움직여 경희대 수원캠퍼스 내에 설치된 경희SR1 로봇을 직접 움직여 돼지 장기를 집어 자르는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 시연을 선보여 큰 관심을 모았다.
이날 발표된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은 지난 2006년 3월 식약청 과제(연구책임자 경희대 김윤혁 교수)로 약 2년간 1억 5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경희대 김윤혁 교수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 형우진 교수, 건국대 김성민 교수 등이 개발에 참여한 토종 의학 및 로봇공학의 결정체다.
복강경수술용으로 개발된 로봇 기술은 크게 2개의 팔로 구성된 로봇 본체와 수술용 도구, 그리고 본체와 떨어진 조종용콘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로봇 1대는 높이 90cm, 무게 70kg 정도이고, 아직 복강경과 수술도구 부분은 장착되어 있지 않고 추후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로봇에는 과거 수술용로봇에는 장착되지 않는 압력제어장치가 세계최초로 고안되어 장착됐다.
경희대 김윤혁 교수는 “국내 자체기술을 이용해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한국의 뛰어난 IT기술을 기반으로 토종의학과 로봇공학이 손을 잡고 개발한 것으로, 앞으로 충분한 시간과 투자만 있으면 세계적으로도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 교수도 “현재 국내 도입되어 있는 외국산 수술용 로봇과 비교해 아직은 단순한 절제나 고정만 가능한 수준으로 내시경, 봉합 등 아직 개발해야할 점들이 있다. 그러나 국산 수술용 로봇을 통해 고부가 가치시장인 세계의료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기반을 다진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들은 이번에 개발한 국산 복강경 수술용 로봇기술이 상용화 되면 로봇수술이 필요한 많은 국내 환자들에게 값싸고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