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중독환자 5997명 발생…51.5%는 치료약물 중독

2023-09-28 06:54:17

질병청, 15개 참여기관 응급실 방문 중독환자 대상 심층 실태조사 1차년도 결과 발표

응급실 기반 중독 심층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질병관리청은 응급실 기반 중독 심층 실태조사 1차년도 결과를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의 화학물질, 약물, 자연독 등 독성물질 노출에 의한 중독환자 발생은 연간 10만명 내외이며, 이로 인한 진료비는 지난 10년간 매년 늘어 2021년 기준 578억1000만원에 달하고 있어,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독성물질 노출에 의한 중독 관련 보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생산을 위해 2022년 6월부터 응급실 내원 중독환자를 대상으로 중독 심층 실태조사를 실시 중이며, 이를 통해 ▲노출물질 및 노출경로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증상 및 징후 ▲치료 및 예후 등 중독의 다양한 역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이번 1차년도 보고서는 지난 2022년 6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시행한 최초 1년간의 조사 결과이며, 2차년도 보고서부터는 당해연도 1월부터 12월까지의 조사결과를 연 단위로 발표할 예정이다.



중독 실태조사 결과, 2022년 6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14개 시·도의 15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총 5997명의 중독환자가 발생했다. 중독환자는 여성(56.2%)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의도적 중독(67.2%)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발생연령은 20대(19.0%) > 70대 이상(14.5%) > 40대(14.4%) > 50대(14.0%) 순으로 많았으며, 주요 노출물질은 치료약물(51.5%) > 가스류(13.7%) > 인공독성물질(11.9%) 순으로 조사됐다. 

발생 장소는 가정 내 발생이 73.5%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노출 형태는 경구 노출 70.2% > 흡입 14.2% > 물림·쏘임 9.3%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사망한 사례는 5997건 중 102건으로 1.7%으로 집계됐다.



노출물질은 전 연령대에서 치료약물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10대의 80%가 치료약물에 의한 중독으로, 전 연령대 중 치료약물로 인한 중독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의 다빈도 중독물질 1위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제(21.1%), 2위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신경안정제(19.2%)로, 모두 치료약물에 해당했다.

10세 미만에서는 인공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이 30.5%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모두 비의도적 중독으로, 화장품과 락스 등 가정 내 생활화학제품에 사고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60대 이상에서는 글라이포세이트와 글루포시네이트 등 농약류가 다수 포함됐는데, 농약류 중독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발생률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다빈도 노출물질은 중독 의도성에 따라서도 달리 나타났는데, 의도적 중독에서는 벤조디아제핀계 진정제·항정신병약제·수면제(20.9%) > 졸피뎀 (10.9%) > 일산화탄소(9.2%) 등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비의도적 중독에서는 일산화탄소(19.3%) > 벌 쏘임(18.5%) > 기타 및 미상의 동물에 물림·쏘임(7.8%) 등의 순으로 노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중독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별 맞춤형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그 첫 번째 대상으로 치료약물 중독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청소년을 선정해, 지난 8월 25일부터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올바른 치료약물 사용법 및 응급처치방법 등 중독질환 예방교육을 진행 중이며, 향후 소아·노인 등 취약집단을 중심으로 중독질환 예방사업의 대상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중독 심층 실태조사 1차년도 보고서는 질병관리청 누리집(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민준 기자 kmj6339@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