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칼리, ESMO 2025서 조기 유방암 환자 5년 장기 추적 데이터 발표

2025-10-22 10:46:51

키스칼리+내분비요법 병용군에서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 개선 지속
림프절 음성 환자를 포함한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 전반에서 임상적 유의성 입증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2025 유럽종양학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2025, 이하 ESMO 2025)’에서 자사의 CDK 4/6 억제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인 NATALEE 연구의 5년 장기 추적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공개된 데이터는 재발 위험이 높은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 음성)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eBC) 환자를 대상으로, 3년간의 키스칼리 치료 종료 후 약 2년이 경과한 시점(중앙값 58.4개월)에서도 키스칼리의 지속적인 이점을 확인한 연구 결과다.

이번 ESMO 2025에서 발표된 데이터는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 5101명을 대상으로 키스칼리 병용요법의 장기 재발 억제 효과를 평가한 글로벌 3상 임상시험 NATALEE 연구의 5년 추적 분석 결과로, 키스칼리 병용요법은 내분비요법 단독군 대비 침습적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을 28.4%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HR=0.716, 95% CI: 0.618-0.829, P<0.0001). 

5년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은 키스칼리 병용군에서 85.5%, 내분비요법 단독군에서는 81.0%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4.5%의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는 앞서 발표된 NATALEE 4년 데이터(키스칼리 병용요법군 88.5%, 내분비요법 단독군 83.6%) 대비 추적 기간이 길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일관되게 유지돼, 키스칼리 치료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주요 하위군 전반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림프절 음성 고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군에서도 유의한 개선 효과(HR=0.606, 95% CI: 0.372–0.986)가 관찰됐다1. 또한 원격 무전이 생존율(DDFS)을 29.1%(HR=0.709, 95% CI: 0.608-0.827), 원격 무재발 생존율(DRFS)은 30.1%(HR=0.699, 95% CI: 0.594-0.824) 더 낮췄다. 전체 생존율(OS)에서도 위험비(HR)가 0.800으로 개선되며, 내분비요법 대비 사망 위험이 20% 감소하는 고무적인 추세를 보였다(95% CI: 0.637–1.003, P=0.026)1. NATALEE 연구는 향후 OS 및 기타 장기 평가 지표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추적 관찰을 지속할 예정이다.

세인트 빈센트 대학병원 종양내과 전문의이자 NATALEE 연구 책임자인 존 크라운(John Crown) 박사는 “매년 수천 명의 환자들이 조기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있으며,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5년 추적 데이터는 키스칼리의 효과가 치료 종료 후에도 지속됨을 보여주며,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유방암 없는 삶의 가능성을 한층 넓혀주는 의미 있는 데이터”라고 강조했다.

노바티스 글로벌 종양혈액학 연구개발 총괄 책임자 두션 체티(Dushen Chetty)는 “이번 데이터는 키스칼리가 3년의 치료 기간을 넘어 장기적으로 유방암 재발 위험을 유의하게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키스칼리의 장기적인 질환 관리에 있어 더 큰 신뢰를 가질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한국노바티스 유병재 대표이사·사장은 “키스칼리는 조기 유방암 환자, 특히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게까지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며 “노바티스는 환자의 치료 여정을 함께하는 파트너로서,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국내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키스칼리는 미국 FDA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를 포함해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승인된 유방암 치료제다. 국내에서는 2019년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H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아로마타제 억제제 또는 풀베스트란트와 병용하는 내분비요법으로 허가받았으며, 2025년 8월에는 재발 위험이 높은 HR+/HER2– 2기 및 3기 조기 유방암 환자의 보조요법(adjuvant therapy) 적응증으로 확대 승인됐다. 키스칼리는 조기 유방암에서 미국국립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이 권장하는 CDK4/6 억제제로, 최고 등급(Category 1) 치료 옵션으로 선호되는 약제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