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애브비, ‘애브비 림프종 서밋(ALpS)’ 개최

2025-10-30 09:26:40

혈액암에서의 최신 치료 전략과 임상 경험 공유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지난 24일과 25일 양일간 림프종 및 백혈병의 최신 치료 트렌드와 임상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애브비 림프종 서밋(이하 ALpS, AbbVie Lymphoma Summit)’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혈액암 전문가 50여 명 이상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이번 서밋에서는, ‘림프종은 ‘알프스(Alps) 산맥’만큼 정복하기 어려운 질환이지만 애브비의 지속적인 헌신과 연구개발을 통해 환자들과 함께 림프종 정복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올해 서밋은 애브비의 혁신 치료제를 기반으로 한 혈액암 치료의 최신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서밋 첫날은 국내 미충족 수요가 높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이하 R/R DLBCL, relapsed or refracto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치료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이중특이항체 엡킨리(성분명: 엡코리타맙)의 주요 임상적 가치와 진료환경에서의 유효성 결과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심포지엄은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윤덕현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애브비 글로벌 의학부•사이언티픽 총괄 디렉터 찰스 F. 컨즈(Charles F. Kearns) 박사가 ‘림프종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엡킨리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컨즈 박사는 “엡킨리의 등장으로 빠른 치료 결정과 개입이 필요했던 R/R DLBCL 환자들에게 즉각적인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림프종 치료 환경은 큰 변화를 맞이했다”며, “엡킨리는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임상 데이터에서 확인한 일관된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다양한 병용요법과 림프종 아형에서의 임상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림프종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화순전남대병원 혈액내과 양덕환 교수가 좌장을 맡은 두 번째 심포지엄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윤상은 교수가 발표를 진행했다.

고영일 교수는 ‘엡킨리가 바꾼 국내 3차 이상 DLBCL 치료 전략’ 발표를 통해, “지난 10여 년간 DLBCL 치료 패러다임은 CAR-T, 이중특이항체 등 면역기반 치료제의 등장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치료 접근성이나 적합성의 한계로 충분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러 차례 치료에 실패해 온 R/R DLBCL은 질병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공격적인데, 엡킨리는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별도의 제조기간 없이 즉각적인 투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CAR-T 치료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며, “엡킨리의 임상연구(EPCORE NHL-1) 3년 추적 데이터(중앙 추적기간: 37.1개월) 결과, 전체 객관적 반응률(ORR) 59%, 완전관해(CR) 비율 41%로 나타났으며, 완전 관해 환자의 절반 이상이 3년 시점에도 관해 상태를 유지함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DLBCL의 1차, 2차 치료에서도 다양한 임상연구가 진행 중이며, 보다 앞선 단계에서 엡킨리의 임상적 혜택을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엡킨리 최적 사용과 실제 임상 경험’을 주제로 발표한 윤상은 교수는 “국내 R/R DLBCL 3차 치료에서 유일하게 급여가 적용되는 CAR-T 치료제는 R/R DLBCL 치료 결과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환자의 상태, 제조 기간 및 기관 접근성, 독성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반해 엡킨리는 즉각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이전 벤다무스틴 치료 경험 여부와 무관하게 일관된 유효성을 보여, 치료 실패나 재발로 인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환자에게도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며, “엡킨리는 CAR-T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은 물론, CAR-T 치료 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일관된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으며, 국내 3차 R/R DLBCL 치료 전략의 다각화를 가져왔다. 현재 국내 DLBCL 환자 치료법은 매우 제한적인데, 엡킨리 등 환자들이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절실히 필요한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서밋 이튿날에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환자들의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벤클렉스타(성분명: 베네토클락스)’ 기반의 ‘고정 기간 치료(Fixed-Duration Therapy)’에 대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부산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신호진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가천대길병원 혈액내과 유쾌한 교수가 나섰다. 또한 유쾌한 교수를 비롯해 울산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재철 교수,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민기준 교수가 패널로 참석했다.

한국애브비 의학부 총괄 강지호 전무는 “이번 서밋은 림프종 치료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국내 전문가들이 최신 임상근거와 실제 진료 경험을 한 자리에서 논의하며 최신 치료 전략을 공유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며 “한국애브비는 앞으로도 엡킨리와 벤클렉스타를 중심으로 한 혈액암 포트폴리오와 임상 현장에서 축적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항암 치료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노영희 기자 nyh2152@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