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통 증후군 치료의 최신 지견

2009-12-28 14:56:37

이신석 전남의대 류마티스내과


이신석
전남의대 류마티스내과


CASE STUDY

Q1. 40세 여자 환자가 6개월 전부터 발생한 전신의 근육통과 만성 피로감으로 왔다. 아침에 일어날 때 통증과 더불어 강직감이 심하고 날씨가 궂을 때는 증상이 악화된다고 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압통관절과 종창관절은 없었고 목 뒤, 승모근, 견갑골 내측 상부, 2번째 늑골, 팔꿈치 외측 하부, 무릎 내측 상부 등 여러 곳에 압통점이 대칭적으로 있었다. 혈액검사에서 ESR과 CRP는 정상이었고 류마티스 인자, 항핵항체, 갑상선 기능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이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약제는?

A1.
1. SSRI 혹은 SNRI를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2. Bipolar disorder가 있거나 불면증이 심한 경우 pregabalin으로 시작한다.


Q2.삼환계 항우울제와 fluoxetine으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섬유근통 환자에서 다음 단계로 투여해 볼 수 있는 약제는?


A2..
1. Fluoxetine을 milnacipran 혹은 duloxetine으로 교체한다.
2. Pregabalin을 추가한다.




관리자 help@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