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만성신질환 환자에서 투석 시작의 지침과 적절한 대체요법의 선택

2009-12-28 14:56:42

이태원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이태원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CASE STUDY


Q.60세 여자가 최근 1달간 지속된 식욕 저하와 오심,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0년 전부터 당뇨병으로 치료 중이었으며,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진단받았고, 당뇨병성 유리체 출혈로 수술 예정이었다. 혈압은 90/60mmHg였으며, 만성 병색을 보이고 있었다. 결막은 창백해 보였으며 복부 검사상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양 하지의 함요 부종이 2+로 관찰되었다. 검사 소견상 동맥혈검사: pH 7.24, PaO2 90mmHg, PaCO2 34mmHg, HCO3 12mmol/L, SaO2 95%였고 혈청 크레아티닌 5.5mg/dL, eGFR 8.4ml/min/1.73m2, Ca/P 6.7/7.8mg/dL, Na/K/Cl 130/5.6/90mEq, Hb 5.0g/dL, Hct 16%, TIBC 210ug/dL, Iron 30ug/dL, Ferritin 80ng/mL, iPTH 468pg/mL으로 측정되었다. 입원 후 시행한 위내시경 소견상 경한 홍반성 위염이 있었으나 출혈의 증거는 없었고, 복부 초음파 소견은 아래와 같다. 심초음파 소견에서 EF=46%로 수축기능의 감소를 보였다.

진단 check point
1. 긴 당뇨병력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2. 심한 빈혈과 대사성 산증, 식욕저하, 오심, 구토
3. 당뇨병성 유리체 출혈과 낮은 혈압
4. 심장수축기능의 감소



A.
1. 복막투석을 위한 복막 카테터 삽입
2. 빈혈 교정을 위한 Erythropoietin과 철분제 투여
3.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교정을 위한 칼슘 함유 인결합제를 식사와 함께 투여




관리자 help@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