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천식의 가이드라인과 치료 및 관리

2010-02-26 04:35:20

김경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김 경 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CASE STUDY



Q. 10년 6개월된 남자 환아가 타병원에서 천식으로 치료받던 중 내원하였다. 3세경 천식을 진단받았으며 이후 간헐적인 약물치료를 받았고, 2년 전부터 류코트리엔 조절제와 ICS와 지속성 β2 항진제 복합제를 간헐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치료 중에도 주 3회 이상 야간기침으로 잠을 잘 못자고 있음을 호소하였고, 많이 뛰면 힘들다고 하였다. 감기에 걸리면 쌕쌕거리는 증상이 월 1회 정도 반복된다고 하였다. 아버지는 비염이 있었고, 그 외 가족력에 특이소견 없었다. 환자는 진찰 소견상 이상 없었다.
검사 소견 흉부 X선상 특이소견 없었고, total eosinophil 11.4%, CAP 검사상 total IgE 514kU/L, ECP 77.8μg/L, alternaria 1.88kU/L, 그 외 D. pteronyssinus, D. farina, B. germanica, egg white, milk cow는 <0.35kU/L였다. 알레르기 피부시험에서는 candida 2+, Penicillium 2+, Sagebrush 4+, Hop. J 2+, Timothy 2+ 이었다. Spirometry상 FEV1은 109.7% predicted, FEV1/FVC 86.8%, methacholine 유발검사상 PC20은 1.873mg/mL였다.


A.치료
1. 가을철 꽃가루 관리 등의 환경관리
2. 흡입제 사용법 확인 및 재교육
3. 류코트리엔 조절제, ICS 또는 ICS와 지속성 β2 항진제 복합제의 유지치료 → 이후 단계 조절
4. 약물치료로 조절이 어려운 경우 면역 요법 고려




관리자 help@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