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와 제약계, 연구분야 문제 협력에 나서

2011-11-03 06:02:32

다형성문제 해결과 시장 도입에 관한 최첨단 기술 논의

“결정화(crystallisation)는 제약산업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영국 카이랄랩스(Chiralabs) 사의 트란터(George Tranter) 씨는 정확한 다형성(polymorphism)의 선택과 검색 및 가장 효율적이며 유효한 공-결정(Co-crystal) 특성화 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제8차 다형성 및 결정화 학회에서는 다형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시장에 의약품을 도입하는 최첨단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계획이다.

“공-결정화의 의약품 생산 촉진” 연제에 의하면 과학자들은 이 공정에 숨겨진 과학적 이해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공-결정화는 의약품의 사용 및 품질, 폐기 및 벳지 형성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당히 주의를 요하는 분야이다.

2월 28일과 29일 암스테르담에서 국제 의약품 정보 온라인 회사인 Pharma IQ를 통하여 다형성 및 결정화 문제에 대해 조명해 발표될 것이며, 사례 연구도 제약회사 릴리, UCB, 노바티스-MIT 센터로부터 제시되어 기대할 만한 상호작용 워크샵이 EPO 대표들에 의해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Pharma IQ 정상은 다음 분야에 첨단 연구를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의약품 개발 도중 다형성 검색에 대한 최적시기와 깊이
-공-결정의 특성화 및 정확한 특성 시험 기구의 선택
-다형성 등급 향상(polymorphic scale up)
-제약 공정에 PAT 및 QbD 적용
-새로운 다형성의 특허

회의 참가자들은 제약계로부터 최상의 사례를 청취할 것이다. 즉, GSK, 머크, 아스트라제네카, 존슨 앤 존슨 등의 제약회사 및 CMAC(continuous manufacturing and crystallisation)를 비롯하여 학계는 로보로 대학, 리드 대학, 루엔 대학 기타 대학의 학자들의 실제 연구를 청취할 것이다.




김윤미 기자 kym@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