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 다니엘 드러커 초빙 강연

2014-04-15 10:49:54

‘인크레틴 효과와 DPP-4 억제제 최신지견’ 공유


한국 MSD (대표 현동욱)는 인크레틴 기반 치료 연구 분야의 석학인 다니엘 드러커(Drucker, Daniel J.) 교수를 초빙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여섯 차례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드러커 교수는 인크레틴 등 펩타이드 기전을 활용한 치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지 등 유명 저널을 통해 240 여 편 이상의 관련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캐나다 토론토 의과대학의 마운트 사이나이 병원(Mount Sinai Hospital) 산하 사모엘 루넨펠드 연구소(Samuel Lunenfeld Research Institute)의 수석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1987년 활성 펩타이드의 일종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Glucagon like peptide-1)이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생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제 2형 당뇨병 약물 치료 요법의 주요 옵션으로 자리잡은 DPP-4(dipeptidyl peptidase-4) 억제제 치료제 개발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한 주인공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초청 강연은 한국MSD가 DPP-4(dipeptidyl peptidase-4) 억제제 시타글립틴과 서방형 메트포르민 복합제인 자누메트엑스알(sitagliptin/metformin extended-release) 출시를 맞아 열렸다.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필요한 최신 지견을 전달하기 위한 ‘파워 스타트(Power Start) 심포지엄’의 일환이다. 드러커 교수는 심포지엄 기간 동안 ‘인크레틴 효과와 DPP-4 억제제의 최신지견’, ‘인크레틴 기반 치료의 안전성’ 등을 주제로 총 여섯 차례 강연을 진행했다.

드러커 교수는 “DPP-4 억제제 등 인크레틴 효과에 기반한 약물 치료 요법은 수 년에 걸친 임상을 통해 제 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 전략으로 자리매김했다”며 현재 심혈관 질환 보호 효과와 순응도 개선 등을 비롯한 관련 연구와 치료제 개발 등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등 당뇨병 치료 관련으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크레틴 기반 치료 관련 연구에 주력해온 연구자로서 이번 방한 강연을 통해 국내 의료진들에게 관련 연구와 치료의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 이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정규 기자 kyu@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