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세 이하 아동, 뇌전증(간질) 환자 감소 추세

2015-03-11 16:31:25

2009년~2013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연평균 1.7% 감소

뇌전증 환자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뇌전증(간질)의 인구 10만명당 진료 실인원은 2009년 291.7명에서 2013년 272.5명으로 연평균 -1.7% 감소했다.

뇌전증(간질)은 만성적인 신경장애의 하나인데, 뇌신경 세포의 불규칙한 흥분으로 갑작스럽고 무질서한 전기적 활동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발작)이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경우의 신경성 질환을 말한다.

2013년 ‘뇌전증’ 진료환자수는 13만 6,233명으로 조사됐으며 성별로는 남자 55.8%, 여자 44.2%로 남자가 약 10%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10세~19세가 15.2%로 가장 많았고, 40세~49세가 14.5%, 30세~39세가 14.3%, 20세~29세가 14.3%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13년 인구 10만명당 진료 실인원은 80대 이상이 368.8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358.8명, 10대가 346.3명 순이었다.

성과 연령에 따라 인구 10만명 당 진료 실인원 연평균 증가율에 차이가 있는데, 전반적으로 증가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남자 20대의 경우 2009년 311.4명에서 2013년 325.8명으로 1.1% 증가하였고 여자 80세 이상에서도 2009년 299.1명에서 321.1명으로 1.8% 증가했다.

9세 이하의 아동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이 -6.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감소 폭이 컸고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가 -6.9%, 여자가 -6.5%로 큰 차이는 없었다.

2009년~2013년 ‘뇌전증’의 건강보험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은 1,393억 원이었고, 5년 동안 연평균 3.3% 증가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는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2013년은 전년에 비해 감소했다.

이중 10대가 227억 원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20대 205억 원, 30대 189억 원 순이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80세 이상이 18.3%, 70대가 12.5%로 10%가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요양급여비용(심사결정기준)이 2009년 39조 4천억원에서 2013년 50조 7천억원으로 연평균 6.5%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뇌전증의 진료비 증가율 3.3%는 인구 10만명당 진료 실인원수가 2009년~2013년 동안 -1.7% 감소하였음을 감안함에도 진료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배준열 기자 jun@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4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