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천식과 비염의 진단과 치료

2010-05-25 16:52:43

정기석 한림의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정 기 석

한림의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CASE STUDY


Q. 65세 여자로 3개월간의 지속되는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침은 하루 중 야간에 악화되었으며, 찬 공기 노출 후 악화되었고, 간 헐적인 객담과 흉부 압박감이 있었다. 10년 전부터 지속적인 비염 증상이 있었고 주로 가을과 겨울에 악화되었다.
청진 소견상 정상음이었고 다른 특이 사항 없음.
비경 소견상 양측 점막에 부종이 관찰되었다.

폐기능 및 기류 용량 곡선 : 정상 소견, Chest PA: 특이 사항 없음, PNS: 정상, 혈청 총 IgE: 350IU/ml, 혈중 총 호산구수 400개/ml 객담 내 호산구수 5%, 알레르기증상 피부단자시험상 두 가지 집먼지진드기에 강 양성 반응
CAP system: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특이 IgE 항체 증가 : 각각 3.5, 3.8IU/ml
메타콜린 기관지유발시험: 5.0mg/ml에 양성 반응, 골밀도 검사: T score: -3.5 in ward..

A. 치료계획 천식의 약물 치료 단계 : 2단계부터 시작 : 류코트리엔 조절제 혹은 흡입스테로이드
비염 치료 : 비염 증상의 중증도 고려하여, 2세대 항히스타민제 투여
천식과 비염의 동시 치료전략
1. 흡입용 스테로이드(±흡입용 기관지확장제) + 류코트리엔 조절제
2. 흡입용 스테로이드(±흡입용 기관지확장제) + 비강 스테로이드
3. 흡입용 스테로이드(±흡입용 기관지확장제) + 비강 스테로이드 + 류코트리엔 조절제
4. 흡입용 스테로이드(±흡입용 기관지확장제) + 항히스타민제
5. 류코트리엔 조절제 + 항히스타민제 6. 류코트리엔 조절제 단독요법
환자 교육 : 환경관리(환경 내 진드기 농도 줄이기)
천식의 장기적 약물치료와 생활 관리에 대한 교육




관리자 help@medifonews.com
< 저작권자 © Medifonews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본 기사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메디포뉴스에 있습니다.

메디포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416 운기빌딩6층 (우편번호 :06224)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서울아 00131, 발행연월일:2004.12.1, 등록연월일: 2005.11.11, 발행•편집인: 진 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권식 Tel 대표번호.(02) 929-9966, Fax 02)929-4151, E-mail medifonews@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