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과 제이앤피메디가 환자 중심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구축을 위해 손을 잡았다. 강북삼성병원은 의료 데이터 플랫폼 기업 제이앤피메디(JNPMEDI)과 ‘환자 중심 스마트 임상시험센터’를 위한 업무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올해 신설된 강북삼성병원 임상시험센터의 디지털 기반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여 환자 중심의 임상시험센터를 만들기 위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강북삼성병원에서 진행하는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nvestigator Initiated Trial, IIT)에 대한 비대면 전자동의서 서비스 구현을 시작으로 협업의 영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또한, 강북삼성병원은 임상시험 자원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임상시험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제이앤피메디는 AI와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구축 지원으로 첨단 연구 확대에 기여할 예정이다.
2023-07-31 09:12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이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가 우수한 병원으로 인정받았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이 ‘의료영상 품질관리 모범수련병원’ 인증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 인증 기간은 3년으로 오는 2026년 6월까지다. ‘의료영상 품질관리 모범수련병원’ 인증은 대한영상의학회가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체계 정착을 위해 수련병원이 품질관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성적이 우수한 의료기관을 인증하는 제도다. 이에 성빈센트병원은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유방촬영(Mammography)에 대한 장비·인력·시설·안전관리·판독·감염관리 등의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모범수련병원으로 지정됐다.
2023-07-31 09:08길리어드 사이언스는 바이러스성 간염 퇴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2023 길리어드 ALL4LIVER 그랜트’ 프로그램을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올해는 C형 간염, B형 간염, D형 간염과 관련된 ‘검사. 연결. 우선순위(Test. Link. Prioritize)’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신청 기관은 2023년 9월 30일까지 길리어드 그랜트 포털(www.gilead.com/purpose/giving/funding-requests)을 통해 지원 가능하다. ‘길리어드 ALL4LIVER 그랜트’ 프로그램은 바이러스성 간염 검사를 촉진하고, 치료 접근성을 개선하며, 공중보건 아젠다인 간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2030년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바이러스성 간염 연구, 공중 보건 또는 환자 권익 활동 분야 등 간염 부문 글로벌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인 외부 위원회가 신청서를 검토하여 지원 프로젝트를 결정한다. 올해는 기존 한국을 포함한 아태지역에서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미국 제외) 등 전 세계로 지원 지역을 확대한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2030년까지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바이러스성 간
2023-07-31 09:02발달장애인 행동문제 치료 등을 위한 발달장애인 거점병원이 광역지자체별로 1개 이상 설치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국회의원은 발달장애인 의료인프라 강화를 위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개정안은 광역지자체마다 1개소 이상의 발달장애인거점병원을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거점병원은 발달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진료과목 간 협진체계를 구축해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자해·타해 등 행동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복지부가 지정하는 의료기관이다. 복지부는 2016년부터 거점병원을 지정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1곳의 병원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제주,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충남, 경북, 전남 등 9곳에 거점병원이 없는 상황으로, 이로 인해 2021년에 거점병원을 이용한 발달장애인 8258명 중 2683명(32.3%)은 거주지가 아닌 수백 킬로 떨어진 타 시도까지 이동해 치료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강선우 의원은 “발달장애인의 행동문제 치료를 위해서는 장기간 주기적인…
2023-07-31 08:18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본부장 이모세) 지역환자안전센터(센터장 성기현, 이하 센터)는 센터로 접수된 지역약국에서의 환자안전사고 접수 건수가 전년 대비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센터에 따르면, 약국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2019년 시스템 개설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2년에는 총 4,836건이 접수됐으며 2023년 상반기 보고건수는 4,561건으로, 이는 2022년 상반기 대비 약 286% 증가한 수치다. 이모세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장은 “2022년 하반기부터 지역약국의 환자안전사고 보고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히며, “이는 지부별로 개설된 환자안전약물관리센터의 활동이 본격화된 성과이기도 하며, 이에 따라 지역약국이 환자안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기현 센터장은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kops)의 통계 연보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환자안전사고는 종류로는 ‘낙상’이 1위를 차지했으나 2022년 통계에서는 ‘약물’관련 사고가 전체 사고 중 4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 보고된 약물 관련 사고 총 6,412
2023-07-31 08:13동구바이오제약은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매출 성장에 발 맞추어 제조/품질관리 부문에 있어 안정적 제품 생산 및 품질관리 고도화를 위해 기존 자동화 설비에 이어 LIMS, RDMS를 도입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약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경기도 화성 제약공단내 공장 증축 및 시설 증설, 설비 업그레이드 등을 진행한 바 있는 동구바이오제약은 이후에도 제조 시설에 대해 생산설비 자동화 공정 및 협동로봇 도입 등 지속적인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진행하며 제조부문 미래경쟁력을 확보했다. LIMS(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와 RDMS(Raw Data Management System)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으로 자동 데이터 수집 및 시험 관리를 통한 시험분석 추적 등 데이터 조작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실험데이터의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관리시스템이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시스템 도입 개발 및 테스트 안정화 등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 완료 후 본격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금번 시스템 도입으로 실험실 데이터 작업의 신뢰성 확보, 업무 효율성 향상, 시험 관리
2023-07-31 08:10한국룬드벡(대표 오필수)은 지난 7월 29일, 자사 사회공헌활동인 ‘러브백(LoveBack)’ 캠페인의 일환으로 ‘(사)함께한대’에 캄보디아 해외 의료봉사활동을 위한 후원 기금 2000만원을 전달했다. 한국룬드벡은 지난 2019년 ‘(사)함께한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후 2020년까지 해외 의료봉사를 위한 후원 기금을 전달했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인해 해외 방문이 어려워지자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해외 소외계층을 돕기 위해 마련된 음악회에 후원을 진행했고, 올해로 후원 5년째를 맞았다. 이번 한국룬드벡의 후원 기금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의 빈곤, 취약 지역으로 알려진 ‘봇뱅마을’ 현지 주민들을 위한 의약품 구입 지원과 질병 예방 교육에 사용됐다. 봇뱅마을은 120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작은 마을이다. 이곳 주민 중 60%는 오일과 야자수 재배, 20%는 낚시와 숯을 구워 판매해 생계를 유지하는 등 가구 당 하루 평균 소득이 5달러 내외에 불과할 정도로 경제 사정이 매우 열악하다. 한국룬드벡 오필수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중단됐던 해외 의료봉사활동을 다시 후원할 수 있게 돼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구분 없이 취약 계층 모두가 건강하
2023-07-31 08:037월 24일 ‘의대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2권이 발간됐다. 해당 서적은 윤인모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외래교수 (성형외과 전문의)가 사관학교형 의대 제도를 국민에게 소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한 책으로, ‘의료제도 그린페이퍼(녹서)’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가 봉착한 의료문제의 원인을 고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메디포뉴스는 윤인모 교수를 만나 ‘의대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시리즈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펴낸 목적이 무엇이고, 준비 과정에서 목격한 우리나라 의료의 현실 및 문제점이 무엇이 있으며, 해결방안으로 제시되는 의사 수입과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국립의대 확충 등이 실효성이 있어보이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먼저 지난 24일 ‘의대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2권이 발간됐습니다. 어떠한 계기로 ‘의대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을 시리즈로 내게 됐으며, 각 시리즈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A. 의과대학과 보건의료의 문제에 대한 기사가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시발점은 작년에 있었던 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뇌졸중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병원 내에서 근무하는 직원인 간호사도 응급상황이…
2023-07-31 06:00급성상기도감염 및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과 주사제 처방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 2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55차)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심사 완료된 외래 진료내역을 평가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은 32.36%로 2002년 73.33%에 비해 40.97%p 감소했으며, 꾸준히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 4.79%로 가장 낮고, 종합병원 23.77%, 병원 37.67%, 의원 32.10%이며, 전년 대비 병원급에서 가장 크게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영유아가 41.31%로 가장 높고, 소아청소년 32.59%, 성인 30.22%이며, 노인이 21.96%로 가장 낮았다.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은 54.06%로 2016년 60.80% 대비 6.74%p 감소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이 10.67%로 가장 낮고, 종합병원 38.37%, 병원 53.40%, 의원 54.3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영유아가 59.64%로 가장 높
2023-07-31 05:57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액 시장이 2023년 상반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 원외처방 시장은 총 2176억원을 달성하면서 2022년 하반기 2288억원 대비 4.9% 하락했다. 특히 EGFR 표적과 ALK 표적으로 구분되는 폐암 치료제 시장 역시 규모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EGFR 표적 폐암 치료제는 2022년 하반기 777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776억원으로 0.1% 줄어들었으며, ALK 표적 폐암 치료제는 2022년 하반기 199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202억원으로 약 1.6%만 증가했다. 전체적인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항암제 시장에서 굳건한 입지를 보이는 ‘타그리소’는 2022년 하반기 445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455억원으로 2.3% 증가하며 20.9%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특히 유한양행의 ‘렉라자’가 크게 상승하며 타그리소의 뒤를 잇고 있다. 2022년 하반기 102억원의 원외처방액에 그쳤다면 2023년 상반기는 110억원으로 7.6% 상승했다. 그러나 EGFR을 표적하는 다른 제품들은 이들과 반대로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모습이다. 베링
2023-07-31 05:50“여름방학 때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꼭 챙겨주세요!” 질병관리청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Papillomavirus, HPV) 감염증 예방을 위해 이와 같은 당부를 전하며, 12~17세 여성청소년은 여름방학 동안 예방접종을 완료해 줄 것을 30일 요청했다. HPV 예방접종은 HPV 감염으로 유발되는 자궁경부암 등의 주요질환에서 90% 이상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8개국 중 36개국과 전 세계 122개국에서 예방접종하는 안전한 백신이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12~17세(’05~’11년생) 여성 청소년과 18~26세(’96~’04년생)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HPV 예방접종을 무료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연도 마지막 대상(2005년생, 1996년생 저소득층)은 올해 12월까지 접종 지원이 가능하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학기 중 학업 등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어려웠던 청소년이 여름방학을 이용해 접종을 완료할 수 있도록 8월 초 개별 알림 문자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한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자는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방문해 접종할 수 있으며, 아직까지 접종하지 못한 여성 청소년은 예
2023-07-31 05:30창립 50주년을 맞이한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지난 7월 20일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창립 50주년 기념식’이 개최됐다. 이번 기념식은 우리 역사에서 국민건강증진과 국가 보건사업에 활발하게 참여한 간호조무사의 권익 향상과 처우 개선, 위상 강화에 앞장서 온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의 50년 역사를 돌아보고, 국가 필수 간호인력으로서 100년 미래로의 도약을 위한 목표와 방향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정치·사회적으로 간호조무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을 반영하듯 많은 내·외빈이 참석해 대한간호조무사협회 창립 50주년을 축하했으며, “국민 곁에 50년 간호조무사, 100년 미래로 나아갈 것”을 슬로건으로 미래 도약을 다짐했다. 이에 메디포뉴스는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 회장을 만나 대한간호조무사협회 창립 50주년 소감과 50여년 동안 간호조무사의 탄생 및 변천사, 간호조무사들이 처한 현실과 앞으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한편, 1973년 7월 28일에 대한간호조무사협회는 중앙회와 전국 13개 시·도 간호조무사회로 구성돼 있으며, 회원 권익향상과 보수교육 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 및 간호조무사 처우개선 관련 사업
2023-07-29 06:00아스트라제네카가 블록버스터 제품에 대한 두각을 드러내는 모습이다. 상위 11~20위 제약사들 중 아스트라제네카의 총 원외처방액 대비 블록버스터 가능성을 보인 50억원 이상을 기록한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에 의하면 원외처방 상위 11~20위 제품들은 총 868개의 품목을 판매해 1조 4832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했다. 이 중 50억원 이상을 달성한 제품들은 총 64개로, 전체의 51.9%인 원외처방액으로는 7704억원이 확인됐다.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 제약의 원외처방액 확인 품목은 총 120개로 이번 상반기 1799억원의 원외처방액을 달성했다. 이 중 50억원 이상을 달성하면서 블록버스터를 노리는 품목들은 7개로 상반기에만 전체 원외처방액의 42.9%인 772억원을 보였다.제품별로는 ‘고덱스’가 365억원, ‘글루스탑’이 117억원으로 블록버스터로 이름을 알렸으며 ‘토바스틴’이 69억원, ‘셀미스타’가 67억원, ‘네시나’는 53억원, ‘이달비’가 51억원, ‘네시나액트’가 50억원 처방됐다.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 20개 제품의 원외처방액은 1624억원이다. 50억원 이상을 달성한 품목은 8개에 불과하지만 이
2023-07-29 05:50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지난 한 해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성과와 향후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28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연차보고서(애뉴얼리포트)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합해 회사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를 담은 것으로, 유한양행이 지난 2022년에 이어 두번째로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다. 유한양행은 제약사의 사명이라 할 수 있는 신약개발 및 R&D 스페셜 페이지를 필두로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 윤리경영 및 준법경영 강화, ▲ 인재확보 및 육성, ▲ 사업장 안전보건, ▲ 제품 책임 및 안전성 강화 등 총 15개의 중요 이슈를 선정했으며, 보고서를 통해 그 활동과 성과 등을 상세히 보고했다. 조욱제 대표이사는 “유한양행에게 ESG 경영은 단순히 시대의 흐름을 따른 새로운 경영방식이 아닌 97년 전부터 시작된 유한의 창업정신을 오늘로 이어온 한결같은 발걸음”이라고 강조하고, “유한양행뿐 아니라 유한킴벌리, 유한화학, 유한크로락스, 유한대학교, 유한고등학교 등 유한의 가족사들과 함께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고려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내겠다”라고 ESG 경영 의지를 밝혔다. 한
2023-07-28 16:21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는 국가보훈부(이하 보훈부)의 적극적인 협조로 보훈환자 약제비 지급 지연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까지 보훈환자 처방조제 약국에서 약제비 지급 지연으로 인해 약값 결제에 어려움을 겪는 등 현금유동성 문제로 인한 민원이 본회에 다수 접수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약사회는 보훈부에 보훈환자의 안정적인 조제투약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훈환자 약제비를 조속히 지급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보훈병원 자금 사정에 따라 약제비 지급이 지연되지 않도록 개선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보훈부는 약국 청구액을 신속하게 정산할 수 있도록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에 협조를 요청하고, 동 공단에서 약제비 정산이 더 이상 지연되지 않도록 관련지침을 마련하고 있다고 회신했다. 약사회는 “보훈부의 이번 조치에 따라 보훈환자 처방전을 조제투약하는 경우 약제비 지급 지연에 따른 경영난이 일부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안정적인 약제비 지급을 통해 보훈환자에게 보다 양질의 조제투약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07-28 16:05한미약품은 2023년 2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427억원과 영업이익 332억원, 순이익 208억원을 달성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1%, 영업이익은 5.0% 성장했고, 순이익은 다소 감소했다. R&D에는 매출 대비 13.3%에 해당하는 455억원을 투자했다. 올해 한미약품의 상반기 누적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 7039억원(전년 동기 대비 10.3% 성장), 영업이익 931억원(28.6% 성장), 순이익 705억원(47.8% 성장)으로, 올해 연 매출 1조 4000억원 이상 달성을 예고했다. 이번 호실적에 대해 한미약품은 “2분기 원외처방 실적(UBIST 기준)에서만 전년 동기 대비 8.9% 성장한 210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며 “로수젯, 아모잘탄패밀리 등 경쟁력 있는 개량/복합신약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이를 통해 축적한 캐시카우를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R&D에 집중 투자하는 선순환 모델을 견고하게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은 2018년부터 5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전문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로수젯(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의 2분기 원외처방 매출은
2023-07-28 15:442030년까지 만성간염 퇴치를 목표로 주요 정책 및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전문가 포럼이 개최됐다. 질병관리청은 7월 28일 ‘세계 간염의 날’을 맞아, 전문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공중보건 위협인 바이러스 간염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고, 현재 질병관리청이 추진 중인 주요 간염 퇴치 정책을 소개하는 한편, 각계 전문가와 B형·C형 간염 조기 퇴치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은 총 3부로 구성되며, 1부에서는 ‘제1차 바이러스 간염 관리 기본계획’을 비롯한 질병관리청의 주요 추진 정책과 더불어, ‘국외 바이러스 간염 퇴치 전략’을 소개했다. 2부에서는 ▲B형·C형간염 코호트 연구 결과 ▲표준진료지침 및 교육 활용방안 ▲지자체(전남) 간염관리 사업 성과 등이 발표됐으며, 3부 패널토의에서는 질병관리청과 관련 학회 전문가들이 ‘국내 간염 조기 퇴치를 위한 방안 마련’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세계 간염의 날’을 기념해 ‘One life, One liver’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세계보건기구 주관 ‘세계 간염의 날’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고, 국민들께 간염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알리기
2023-07-28 15:11고혈압 치료 성분 두 가지와 이상지질혈증 치료 성분 두 가지를 결합한 한미약품의 4제 복합신약(아모잘탄엑스큐) 임상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AJCD(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rugs IF : 3.29) 최신호에 등재됐다. 아모잘탄엑스큐는 한미약품의 대표 고혈압 치료 복합신약 ‘아모잘탄(암로디핀+로사르탄)’과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을 하나의 정제에 담아낸 세계 최초의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 4제 복합신약이다. 이번 AJCD에 등재된 논문은 국내 13개 의료기관에서 수행한 허가 임상 연구 결과로,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아모잘탄엑스큐를 8주간 투여한 후의 효과와 내약성을 분석한 내용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소 4주의 로사르탄 단독요법 후에도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 180mmHg미만인 환자에서 아모잘탄엑스큐정5/100/20/10mg 투여 시 약 15.8mmHg의 수축기 혈압 강하 효과 및 기저치 대비 약 59.0%의 LDL-C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약제와 관련된 이상반응은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임상 3상 책임연구자인 김효수 교수(서
2023-07-28 14:54유한양행의 2분기 매출이 상승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의 높은 증가와는 반대로 당기순이익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양행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공시한 바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유한양행은 총 4820억 84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분기인 지난 2023년 1분기 4314억원 대비 11.7%, 전반기인 4680억원 대비 3.0%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먼저 영업이익은 2023년 2분기 244억원에서 2023년 1분기 194억원으로 25.4% 증가했으며 특히 전년 동기인 2022년 2분기에 비하면 107억원에서 126.1%나 상승했다. 이어 당기순이익은 2023년 2분기 178억원으로 확인됐다. 2023년 1분기 347억원 대비 48.6% 하락했으며 2022년 2분기 191억원 대비 7% 감소했다.
2023-07-28 14:51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은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28조 9,503억원으로 전년(25조 4,906억원)대비 13.6%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생산실적은 지난해 국내 제조업 생산실적 중 차지하는 비율은 5.25% 수준이나 최근 5년간 연평균 8.2% 성장해 전체 제조업 연평균 성장률(2.2%)의 4배에 달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의약품 시장규모도 17.6% 증가한 29조 8,595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의약외품 시장규모는 마스크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25.5%)해 2021년 대비 6.7% 감소했으나, 방역용품(마스크·외용소독제)을 제외한 시장규모는 2021년 대비 6.8% 성장했다. 2022년 의약품과 의약외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실적 역대 최고 ▲코로나19 백신·치료제가 생산·수입실적 상위 차지 ▲완제의약품·전문의약품의 높은 생산비중 유지 ▲의약외품 상위 5품목 순위 유지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실적 역대 최대치 2022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021년(4조 7,398억원) 대비 14.2% 증가한 5조 4,127억원으로 처음으로 5조원 대에 진입했으며, 최근…
2023-07-28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