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대 연령층이 거식증과 폭식증으로 대표되는 섭식장애로 인해 병원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영 개혁신당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비례대표)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이후 올해 6월까지 연도별 및 연령별 섭식장애 진료 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연령층이 섭식장애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2020년 2203명, 2021년 2469명, 2022년 2544명, 2023년 2556명, 2024년 2538명 그리고 올해 6월까지 1639명 등 총 1만 394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섭식장애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은 진료인원 수를 나타낸 신경성폭식증의 경우 2020년 이후 올 6월까지 총 7942명이 진료를 받은 가운데 남성이 414명(5.21%), 여성이 7528명(94.78%)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진료를 더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하면 섭식장애는 식사장애를 비롯해 신경성 식욕부진, 비전형적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폭식증, 비전형 신경성 폭식증, 기타 심리적 장애와 연관된 과식, 기타 심리적 장애와 연관된 구토, 기타 식사장애 그리고 상세불명의 식사장애 등 총 9가지 상병코드
부정인지편향 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인지 왜곡 교정 및 부정정서 호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백병원은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율리 교수(인제대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장)는 덕성여대 (심리학과 김미리혜교수), 가톨릭대 (심리학과 양재원교수), 부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문정준교수) 등과 함께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섭식장애 환자군을 대상으로한 선행 연구인 단회기 인지편향교정치료(Cognitive bias modification-interpretation, CBM-I)의 개념증명 연구결과(An et al., 2023)를 바탕으로, 다회기 무작위대조시험과 추적 평가를 완료했다. 연구결과, 신경성 식욕부진증 뿐만 아니라 신경성 폭식증에서도 부정 해석편향 및 부정정서에 대한 주의 편향이 교정되는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세계 최초로 신경성 폭식증 성인 환자들에 대한 인지편향교정치료 효과를 최초로 입증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율리 교수는 “섭식장애 환자들의 병을 유지하는 요인인 부정적 인지와 거절 민감성에 대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라며 “향후 이 치료가 섭식장애의 부가 치료로서 치료자와 환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