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수초화 신경병증 원인 ‘단백질 이상 현상’ 치료 전자약 기술 개발
유전성 난치 질환인 탈수초화 신경병증(샤르코-마리-투스, 이하 ‘CMT’)을 약물 치료법이 아닌 전기 자극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DGIST는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 연구팀이 CMT1A(Charcot-Marie-Tooth disease subtype 1A) 세포 모델을 제작해 다양한 전기 자극 실험을 통해 CMT 병의 원인이 되는 말초 수초 단백질 22(이하 ‘PMP22’)의 이상 분포를 정상적으로 회복하는 ‘전기 자극’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CMT 질환은 말초 신경에서 수초의 손실로 인해 근육위축, 무감각, 발의 기형, 마비 등을 유발한다. 약 2500명 중 1명이 발병할 정도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유전 질환이지만 현재까지도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다. CMT 질환 중 하나인 CMT1A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말초신경 손상의 종류 중 하나로, 슈반 세포에서 PMP22 유전자가 과발현돼 발생한다. 슈반세포에서 PMP22의 과발현은 PMP22 단백질의 세포 내 응집을 일으키면서 결국 말초 신경의 손상 원인이 된다. 이에 김민석 교수팀은 PMP22의 과발현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CMT1A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