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에게 척추 건강은 삶의 질과 건강한 노년을 위해 중요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척추 주변 근육의 노화로 인한 척추 근감소증은 노년층의 일상 활동을 직접적으로 방해해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늘리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척추기립근과 다열근은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해당 근육의 힘이 약해지면 요추전만각이 감소하게 돼 개인의 신체적 기능이 손상되며, 이는 요통 발병률의 증가와 연관된다. 따라서 노인의 근감소증과 척추 변형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노년층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윤 교수와 영상의학과 김동현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도시와 농촌에 각각 거주하고 있는 노인 여성의 척추 건강과 근감소증, 노동과 운동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북 순창군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과 성별-연령이 매칭된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상태 및 운동참여 정도를 조사했다. 또한 척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요추 신전근을 3차원으로 분석하고, 척추 및 신체 운동 능력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농촌
술과 담배는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호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술은 간, 담배는 폐 건강을 해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렇다면 척추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 술과 담배 중 어떤 것이 더 허리에 안 좋은지 알아보자. ■ 담배가 혈관을 수축시켜 디스크의 퇴행 앞당겨 척추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 질환은 이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로 딱딱해지거나 제자리를 벗어나 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한다. 담배의 니코틴 성분은 말초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때 디스크로 공급되는 영양분과 대사물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를 앞당긴다. 특히 척추 수술 후 담배를 피우는 것은 회복을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재발의 가능성도 높인다. 강서나누리병원 척추센터 주윤석 부원장은 “척추 디스크 수술의 경우 돌출된 디스크로 인해 눌려 있던 신경을 풀어주는 수술을 한다. 이때 원활한 혈액 공급으로 손상 받았던 신경이 회복돼야 하는데, 흡연은 혈액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에 회복이 잘 이뤄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술 후 최소 2주는 반드시 금연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고, 인공 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