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제약사, R&D 투자액-투자율 “급증”

진흥원 ‘2005년 보건산업 연구개발 실태 조사·분석보고서’ 펴내

국내 제약기업들의 R&D 투자가 30%의 고도성장률을 나타내고 있고 투자비율도 4.7%로 급증하는 등 제약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활기를 띄고 있다.
 
또 의약품산업 연구개발에 대한 2004년도 정부지원 규모가 전년도에 비해 294억원이나 증가한 965억원으로 나타나 2002년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상승을 기록했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경호)이 최근 국내 의약품산업의 연구개발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계 및 분석 자료를 수록한 ‘2005년도 보건산업 연구개발실태 조사·분석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도 국내 185개 조사대상 의약품산업체의 전체 연구개발비 규모는 전년대비 30%가 증가한 3219억원이었고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 지표인 연구개발집약도의 경우 전년보다 0.76포인트 상승된 4.69%로 나타나 의약품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총 연구개발비 중 89.2%를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조달했고, 정부지원 비중은 3년 연속 감소세로 8.3% 수준에 그쳤다.
 
연구개발비 지출비목별로는 인건비의 비중이 40.5%로 가장 높았고 원재료비가 18.5%였으며 기타경상비가 2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개발단계에 대한 사용 비중이 52.6%로 가장 높았고 응용단계가 37.3%였다.
 
사용용도별로는 신제품개발에 56.3%를 사용했으며 기존제품개선에 21.5%, 신 공정개발에 13.3%를 사용했다. 




 
  <표>국내 의약품산업체 연구개발비 재원 및 사용 현황(2004)





    재원별 현황

자체부담

정부재원

그외

 


89.2%

8.3%

2.4%


   지출비목별 분포

인건비

원재료비

기타경상연구비

그 외(자본지출)


40.5%

18.5%

30.1%

10.9


   단계별 사용현황

개발

응용

기초

 


52.6%

37.3%

10.1%


   용도별 사용현황

신제품개발

기존제품개선

신공정개발

그외


56.3%

21.5%

13.3%

9%                                                                                                                               
  
의약품산업 기업체의 등록구분별 연구개발 투자 현황을 보면 거래소 상장기업이 총 연구개발 투자액의 76%를 차지했고 코스닥 등록기업이 8%, 기타 공시기업이 16%를 차지해 거래소 상장기업이 국내 의약품산업 연구개발 투자를 주도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의약품산업 매출액 10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액이 전체 공시기업 연구개발 투자액의 55.8%를 차지해 의약품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소수의 거대 제약기업들에 의해 주도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지원 과제수는 전년도 572과제보다 다소 줄어든 540개 과제를 지원했으며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개발단계에 대한 지원이 42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전년도보다 352억원 증가한 408억원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응용연구의 비중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주체별로는 대학에 대한 지원규모가 335억원으로 전체의 34.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연구소가 269억원, 기업이 265억원이었다.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포함)가 가장 많은 432억원을 지원했고 과학기술부가 323억원, 산업자원부(중소기업청 포함)가 173억원을 지원했다.
 
의약품 개발 단계별로는 보건복지부의 개발단계에 대한 지원 비중이 58.6%로 제일 높았고 과학기술부는 전 단계에 대한 고른 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 관계자는 “이 외에도 보고서에는 의약품산업 연구개발 기관 및 인력 현황, 각 공시기업별 연구개발 투자현황, 특허동향, 기술도입 및 수출 현황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수록돼 있다”고 밝혔다.
 
한편 보고서 전문은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
200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