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중외, “ETC 매출 제네릭 6배” 매출 공개

한미 FTA 이후 매출 전망…“FTA 영향 제한적”

중외제약이 자사의 매출 구조를 나눠서 전격 공개하고, 향후 한미 FTA에 따른 영향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중외제약은 지난해 *오리지널 의약품 2317억(67.6%) *제네릭 의약품 353억(10.3%) *수출/OTC 등 기타 757억(22.1%) 등 3427억의 매출을 올렸다고 5일 밝혔다.
 
OTC제품 등을 제외한 전문의약품 비율구성을 보면 오리지널 제품(수액포함)이 2317억으로 86.8%에 달한다. 제네릭 대비 6배가 넘는 수치다.
 
이에 대해 중외제약 관계자는 “한미 FTA 타결에 대한 영향이 전혀 없는 병원에서의 필수의약품 중의 하나인 수액에 대한 매출 포지션이 크고 연구개발로 일궈낸 오리지널 전문 의약품 비율도 타사 대비 높기 때문에 가능한 수치”라고 말했다.
 
제약업계에서 매출현황을 오리지널, 제네릭 등으로 분류해 공식적으로 발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발표는 최근 타결된 한미FTA 협상 이후 제약산업 전반에 걸쳐 제기된 시장의 우려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다수의 전문 오리지널 의약품 및 최근 발매한 당뇨병치료제 글루패스트 등을 확보하고 있는 중외제약의 경우, 해외 오리지널 제조사와의 일반적인 라이센싱 계약에 따른 판매가 아닌 대부분 공동 연구개발 및 국내 자체 임상 등을 통한 국내 판매의 독점적 권리를 가진 의약품으로 오히려 특허기간 연장에 따른 수혜도 예상된다.
  
전체 매출 10.3%에 해당되는 제네릭의 경우도 단순복제 의약품이 아닌 슈퍼 제네릭군 의약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난 2004년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차세대 이미페넴은 1995년 특허가 만료됐지만, 물리적 특성과 고난도 합성기술로 인해 현재 상품화된 제네릭의 경우 이미페넴이 유일하며, 중외제약은 이 제품을 거꾸로 일본과 미국, 유럽시장에 수출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회사 제네릭 제품인 히트라졸(항진균제), 피나스타(전립선비대증치료제) 등도 주요 수출 효자 품목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해 중외제약 이경하 사장은 “전체 매출에서 수액과 같은 필수의약품과 오리지널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각종 정책적 리스크로부터 벗어나 있고, 향후 수출비중이 높은 제품군이 많아 국내외 정책변화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고 밝혔다.
 
한편 중외제약은 한미FTA 타결 등 급변하는 약업환경 속에서 지배구조 안정을 꾀하기 위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