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은 10일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외자기업에 대한 정책이 확립돼야 한다고 견해를 제기했다.
신약조합은 국민의 질병 예방·치료 수단인 의약품 자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외자기업의 국내시장 점유율 과다 상승에 대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외자사 점유 증대로 인한 국내제약사간 과열 경쟁을 방지하는 대책 강구와 함께외자사 보유 블록버스터 제품의 특허만료에 따른 자국 시장 손실분 보전전략 실행을 억제하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약조합 관계자는 “현재 다국적의약산업협회 소속 26개 외자 기업 중 한국얀센, 한국오츠카, 한국베링거인겔하임 3개사를 제외한 23개사는 공장이 처음부터 없었거나 기존 공장 철수를 완료한 상태”라며 “대다수 외자사들이 완제수입을 통해 국내 판매에 주력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허가 신약 59품목 중 41품목이 완제 수입됐으며 수입 완제품 대다수 품목이 처방약 시장에서 상위권을 독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약조합은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외자 제약기업 대책 방안으로 *한국내 의약품 생산시설 신·증설 유도 *수입완제품과 한국내 생산제품에 대한 약가 차별화 강화 *수입완제품에 대한 약가를 제네릭 수준으로 하향 *외자사의 한국내 생산제품에 대한 철저한 품질 검증 실시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외자사 수입제품의 국내생산시설 활용 유도를 위해 국내 생산시설 활용시 약가 인하 가능성 확대와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국내기업과 외자기업간 공동연구를 통해 도출된 신약에 대한 우대방안 검토 *외자기업의 국내 연구시설 설치 운영시 인센티브 제공 검토 *외자기업과의 공동연구촉진을 통한 국내기업의 첨단기술 도입 가능성 확대 등의 정부측 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