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논란 속에 입법이 추진된 ‘소아청소년과’ 명칭변경 문제가 대한개원내과의사회의 반대로 또다시 진료과간 분쟁으로 불거지고 있다.
이번 논란에 대해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회장 임수흠)는 지난해 입법과 함께 일단락 됐던 사안이라는 점에서 문제제기를 한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개원내과의사회는 지난해 소아과 개명에 대해 중립입장을 고수한 것은 장동익 회장의 의협선거 출마로 인해 반대입장을 유보했던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소아과와 내과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임수흠 소개협 회장은 “당사자가 모두 합의한 사항에 또 다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누가봐도 권모술수”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다음은 임수흠 회장과의 전화인터뷰 내용.
*소아과 개명 논란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데.
-모두 의협, 의학회, 내과, 소아과 합의가 끝난 사항이다. 다시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다. 논의의 가치가 없다.
*개원내과의사회측에서는 작년 장동익 회장의 중립 방침이 선거 때문에 유보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건 누가봐도 정치인보다 더한 권모술수다. 모든 의사를 속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이 논란이 다시 불거지자 개정안을 발의한 국회의원측에서는 ‘의료계 내부 진료과간 합의를 확인한 후 진행했는데 다시 이의를 제기하면 일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겠느냐’며 강력하게 항의해 오고 있다.
*소아과 개명이 추진된 배경은?
-우리나라는 소아과의 범주가 관습적으로 정해져 왔다.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미국에서는 21세까지로 정하고 있으며 pediatrics라고 해서 WHO에서도 18~19세로 명시하고 있는 등 통상 18세 정도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도 대학병원의 경우 15~17세까지를 소아과 진료대상으로 분류하는 입원나이를 정하는 관례가 원래 있었다.
하지만 환자들은 초등학생은 3,4학년만 되더라도 소아과 진료대상이 아니라는 인식이 박혀있다. 따라서 소아과 정체성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에 국민의식을 바꾸자는 차원에서 출발했다.
*‘소아청소년과’ 개명은 어떻게 합의돼 왔나
-2003년 소아과학회 평의원회에서 명칭변경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이후 2004년 3월 의학회 이사회에서 전문과목 명칭 개정안을 승인했으며 당시 대한의학회, 내과학회, 현 개원내과의사회, 소아과학회, 소아과개원의협의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4~5개 관련과에서 찬성을 받는 절차를 밟았다. 내과의 반대가 있었지만 학술적으로 청소년과 관련된 논문수, 청소년 담당 대학교수 등 학술적 근거를 검토한 결과 명칭 변경쪽으로 최종 결정됐다.
*작년에는 한차례 입법이 보류되기도 했는데.
-의협이 보낸 질의서에 내과학회가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반대가 거세져 그때 명칭변경안이 유필우 의원에서 정형근 의원으로 넘어갔다. 이후 노인의학회 행사 중 장훈 당시 소개협회장과 정형근 의원, 내과학회 문영명 (전)이사장 등이 회동한 자리에서 개명 반대 안한다는 확인했다.
*소아과는 정확히 몇 세로 구분하고 있나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교과서에서는 20세로 명시돼 있고 넬슨이나 미국 소아과학회에서 발행되는 책에도 21세까지로 소아과의 범위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경우에는 대학생까지도 소아과에서 진료한다.
*특히 나이에 대한 논란이 가장 많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당초 소아과 개명 추진과정에서 과연 청소년의 나이를 어디까지로 볼 것이냐를 놓고 논의를 했다. 당시 내과학회 이사장, 장동익 회장, 현 개원내과의사회장인 김일중 회장도 그 자리에 있었다. 미국에서 정하고 있는 23세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일반적으로 18~21세로 명시되는 것을 고려해 18세로 하기로 합의했다.
이 자리에는 내과학회 이사장, 장동익 회장을 비롯해 최근 논란을 제기한 김일중 회장도 있었다.
*의협에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이 문제는 중재가 아니다. 원칙대로, 제대로 돌려놓는 것 뿐이다. 소아과개명이 원칙적으로 합의라는 전제아래 차근차근 진행된 사안인 만큼 의협은 이 사안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도록 하는 것 뿐이다. 개명과 관련해서는 내과측을 만날 의사도 계획도 없다. 다만 소아과 개명에 대해 개원내과의사회측이 계속 반대를 한다면 이에 상당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6-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