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소극적이었던 자세에서 벗어나 중소병원이 꼭 필요로 하는 정책마련 및 실천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전국중소병원협의회의 김정덕 사무국장은 이 같이 밝히며, 협회의 행보에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했다.
실제 중소병협은 정인화 회장이 취임한 이래 많이 달라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소병협은 지난 한 해 동안 *요양병원수가 개선 *병원확장에 따른 행정규제 완화 *보건복지부 장관의 ‘성분명처방’ *의료비 소득공제 증빙자료 제출 *간호관리료 차등제 전면유보 등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는 등 중소병원의 제 목소리 내기에 나섰다.
또한 연구를 통해 ‘행위별수가에 따른 다빈도 잉여상수에 의한 병원원가 계산법’을 발표했다.
이 김 국장 등이 참여한 ‘의사업무량 상대가치에 근거한 진료의사 성과평가 체계’도 모습을 드러냈다.
김 국장은 “그동안 중소병원에 속한 의료진의 급여에 대한 표준안이 없었다”며 “각 병원의 사정을 고려한 급여체계 마련으로 중소병원의 경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병협은 지난해 10월 ‘병원의 간호서비스 확충을 위한 간호조무사 인력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국회에서 개최하며, 중소병협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알렸다.
김 국장은 “중소병원만의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했다”고 밝히고 “또한 사무국을 마련하고, 중소병협 로고 확정 및 현판식을 개최해 중소병협의 내실화에도 충실했다”고 전했다.
현재 중소병협은 정기총회를 앞두고 있다. 협회 설립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회칙 개정 등이 이뤄진다.
중소병협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또 다른 변화와 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소병원의 간호인력난 해소를 위한 의료법시행규칙 개정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날로 심화되는 경영악화로 위기에 놓여있는 중소병원들. 각종 현안에 대해 중소병협이 보여주고 있는 적극적인 행보가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