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코르티코S 흡입제, 아동천식 예방효과 없어

"연구결과 불구, 아동천식에 불가피"주장도

천식 치료를 위해 보통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분무 흡입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천식 발병 가능성이 높은 아동의 경우에는 증상 재발 또는 천식 발병을 예방할 수 없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흉부외과 협회의 연례 정기 학술 모임에서 발표됐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는 과거에 수행됐던 연구 결과들도 함께 분석됐는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분무 흡입제를 사용하는 아동 천식 환자의 경우, 이 약을 사용할 때는 증상이 호전됐지만 약의 사용을 중단한 바로 즉시 천식 증상이 재발됐고, 결국 장기간에 걸쳐 보았을 때 이 분무 치료제가 천식 증상을 억제하는 효력이 없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아리조나 대학의 Wayne Morgan 교수는 “그러나 한 가지 다행스러운 일은 천식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 꼭 스테로이드 약물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지만, 천식 증상이 악화될 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분무 흡입제가 증상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분무제가 사전에 천식 발병을 예방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Morgan 교수는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Theresa Guilbert 박사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는데, 아동 천식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수행됐던 임상 실험 프로그램인 PEAK(Prevention of Early Asthma in Kids) 데이터를 새롭게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천식 발병 가능성이 높은 285명의 아동들을 무작위로 구분해, 한 그룹에는 2년 동안 매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분부 흡입 치료제를 사용하게 했고 다른 그룹에는 가짜 약을 사용하게 했다.

그리고 연구 3년 차에 접어들었을 때는, 아무런 치료제도 적용하지 않았으며 4년 차에는 이전에 적용 했던 치료를 다시 실시했다.

연구팀은 특히 실험에 참가한 아동들의 폐 기능을 측정했는데, 동 연구가 수행되면서 치료제를 적용한 시기에 아동의 폐 기능 정도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연구 2년 차가 종료했을 무렵에 양쪽 그룹 아동들의 폐 기능을 검사한 결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 제시됐다.

또한 연구진은 사람에 따라 천식 치료제의 반응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는데, Gilbert 박사는 “백인이 아님 남성의 경우에 천식 치료제에 대한 가장 높은 반응도를 보였고 또한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아동의 부모가 천식 병력이 있을수록 높은 치료 반응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코르티토스테로이드 천식 치료제는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유용하지만 그러나 근본적으로 천식을 치료하는 능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 결과를 설명했다.

이와 같은 연구 주장에 대해 미국 뉴욕 의과대학의 아동 천식 전문가인 Alan Khadavi 박사는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연구 주장 때문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분무 흡입 치료제의 사용에 대한 처방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다. 이 분무 흡입 치료제가 천식을 치료할 수는 없지만 아동 천식 환자의 경우 이 치료제가 꼭 필요한 실정이다”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 성과와는 별도로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흡입 치료제가 아동 천식 환자의 증상을 억제하는데 별다른 효과가 없다고 주장됐다.

사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제를 꾸준히 사용하는 아동의 부모 중에서 이 치료제를 사용해도 천식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고 보고하는 사람이 많은 실정인데 대략적으로 흡입 치료제를 사용하는 5명의 아동 당 1명의 비율로 천식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미국 보스턴 시 아동 병원의 Gregory Sawicki 박사는 “아동 천식 환자 중에서 선천적으로 천식 치료제에 대한 반응도가 낮다”고 밝히면서, 천식 치료제의 사용 빈도수가 낮거나 치료 반응도가 낮은 아동의 경우 천식 증상이 더 심한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비록 PEAK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 천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Khadavi 박사는 천식 예방을 위해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계절에는 먼지 차단 필터가 내장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또한 그는 베게, 침대보에 존재하는 진드기를 제거하고 양탄자의 사용도 금지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