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발표한 ‘국내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에 대해 업계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 실행 로드맵이 어떻게 발표될 것인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지난 26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최로 열린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설명회 및 간담회’에 많은 제약사 연구소 관계자들이 참석해 정부의 구체적 추진 방향을 문의하는가 하면 반영돼야 할 사안도 적극 주문하는 열띤 토론의 장이 마련됐다.
이날 복지부 보건산업기술팀 임숙영 팀장의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주제 발표 후 가진 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한림제약 이광호 이사는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은 제네릭 의약품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하고 “신약개발 지원 중 특히 특허에 초점을 맞추어줬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혁신형제약기업보단 연구자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동화약품 연구소 관계자는 “현재 발표된 정부 지원 방안을 보면 과기부, 산자부, 복지부가 특정 분야를 나눠 진해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후보물질 도출→전임상→임상으로 넘어가는 단계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부처간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다”며 “구체적 로드맵 발표 전 이 부분을 충분히 협의해 반영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또 모 제약사 연구소 관계자는 “신약 개발이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 임상을 따로 놓고 생각하기가 힘들다”며 “중복 과제 지원을 허용해 줄 것”을 부탁하기도 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관계자는 “정부가 발표한 지원 계획안을 살펴보면 신약, 수퍼제네릭, 바이오 신약 등으로 나누고 있는데 그럼 신약은 화학적 신약만을 의미하는 것이냐”며 “굳이 신약과 바이오 신약을 나눌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과기부에서 후보물질 도출 계획이 불분명 하다”며 “과기부가 후보물질 도출 사업단을 구성시 출연기관 외에도 기업 참여 시스템을 마련 단지 기업이 후보 물질만 도출을 바라보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이 의견을 부처간 협의 때 꼭 검토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외에도 정부 차원에서의 전임상기관 마련과 프로젝트를 나눠 일괄적으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방식을 탈피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연구 과제에 많은 자금을 지원해주는 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 등이 개진됐다.
이에 대해 임숙영 팀장은 “올 하반기 정부 지원 관제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업계의 많은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많은 의견을 개진해 줄 것”을 부탁했다.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은 복지부 보건산업기술팀과 한국신약개발조합, 한국제약협회에 접수하면 복지부에서 접수된 의견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