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제약업계, 중간지대ㆍ틈새전략 논의할 시점”

김창엽 심평원장 “국내 제약사 특별히 우대하거나 역차별 하지 않는다”

김창엽 심평원장은 7일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제약업계의 발전 모델에 대해 한미FTA 등으로 인한 정책적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생각나는 대로 접근하는 식의 전략은 결국 업계의 비효율성만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국내 제약업계가 어느 외국보다도 복제약이 많고, 너무 많은 기업들이 오로지 기본전략을 복제약을 만드는데 집중돼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고 있다며 현시점은 제약산업의 다음단계 전략을 우리 사회가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고 충고 했다.

그는 또 제약업계가 첨단전략도 있지만 중간지대 전략, 틈새전략도 있는 만큼 업계, 정부, 사회가 논의해서 핵심전략을 무엇으로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업계에서 심평원의 평가 기준이 너무 깐깐하다 원성도 있다는 질문에 대해 김 원장은 이제는 애국심에 호소해서 뭘 할 수는 없다며 국내 제약사의 애로사항이 있겠지만 현재 정부 정책의 대원칙이 국제적 기준에 맞추는 만큼 개량신약도 국내 기준만 보고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다국적 제약기업을 포함한 인도와 중국 등 국내에 진입할 수 있는 신생국도 고려하고 있어 국내 제약사를 특별히 우대하거나 역차별을 하거나 하는 의도는 없다고 밝혔다.

또 심평원의 약품의 보험적용 여부 평가와 공단의 가격 협상이 이중규제라는 의견이 많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세계적으로 경제성 평가와 가격협상을 분리하느냐, 한 기관에서 하느냐 두 가지 모델이 있다며 두 과정이 어차피 필수적인 만큼 지금은 시행 초기니만큼 지켜보고 나서 몇 년 후에 재검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