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조사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최대 100억원이라는 과징금이 부과될 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제약협회는 국내 제약산업의 신뢰 하락과 과다 과징금 추징으로 인한 회원사들의 어려움을 우려 29일 공정위원장에게 탄원서를 제출, 선처를 부탁했다.
제약협회는 탄원서에서 국내 제약업계가 지금 산업의 명운을 좌우할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며 한미FTA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당장 선진국 수준으로 GMP시설을 개선하는데 자금을 투입해야 하며 또한 다국적제약기업의 요청에 의한 지적재산권 강화로 초래된 제네릭의약품의 개발 및 발매 지연에 대응해 새로운 돌파구도 찾아내야만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업계의 입장을 설명했다.
공정위 조사와 관련해서는 판촉활동을 빙자한 과다한 의사 및 병원 지원이 우리 의약계의 오랜 관행임을 부인하지 않겠지만 과다한 규제와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작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활동이 제약업계 전체를 부도덕한 기업집단으로 내몰고 위기에 직면한 제약기업의 경영활동을 더욱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약협회는 이번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약기업 조사가 의약품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는 제도개선과 규제개혁으로 이어져 제약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처벌 수위를 고려해줄 것을 부탁했다.
또 최근 제약협회를 위시한 많은 회원사들이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자정활동에 매진하고 있으며 협회 내에 공정거래특별위원회를 설치해 병원과 의사를 상대로 한 각종 발전기금을 중단하고 과다한 학회지원도 중지하기로 천명하는 등의 자정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