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주는 제약사나, 받는 의사나, 모두 문제

또.. 또.. 리베이트, 방송 당골 메뉴로 등장할 판!

제약업계 음성적 리베이트가 최근 또 방송을 탔다.

이번에는 한 제약사의 대구ㆍ경북 지점이 한해에 36억원이 넘는 리베이트를 제공했으며, 전국적으로 관리하는 병의원 1만여곳을 감안하면 전체 리베이트는 대략 수백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제약업계에 또 다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요즘 방송 단골메뉴로 등장하는 제약사들의 음성적 리베이트 관행은 제약업계의 부정한 이미지로 낙인찍힌지 오래다.

하지만 이같은 결과는 제약사가 리베이트를 줄 수 밖에 없는 시장구조와 국민의 외제약 선호에 문제가 있다.

의약분업으로 처방내용이 공개되어 있는 현실에서 국민들이 값싼 국산약 보다 외제약 처방을 요구하면 의사들은 소위 오리지널 약을 처방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대다수 국내 제약회사들은 자사의 제네릭 의약품으로 대체 처방케 하려면 리베이트를 포함한 무리한 판촉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시장 구조와 과열경쟁 속에서 자사 제품을 가장 쉽게 판매할 수 있는 방법, 혹은 이미 확보해 놓은 자사제품의 시장 방어 방법 등으로 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줘서라도 매출을 올려 보려고 안간힘을 쓰는 악순환이 시정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처럼 의사에 리베이트를 주는 것은 처방의 권한이 의사에게 있어 약품판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즉, 제약사들의 매출과 직결돼 있기 때문.

방송에서도 방영된 것처럼 한 병원장은 “돈받는게 뭐가 큰 문제냐? 영리를 추구하려는 본인의 생각은 떳떳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리베이트의 유혹은 의료인들도 뿌리치기 힘든 모양이다.

오랫동안 음성적 리베이트는 관행처럼 이어져 왔으며, 받는 이들도 당연하다 여기고 있다.

이렇다 보면 비난의 대상으로 리베이트 주는 제약사만 나쁘다고 몰아부칠 것이 아니라 받는 의료인들 역시 똑같은 비난의 대상임이 틀림없다.

리베이트를 주지 않으면 처방을 하지않는 또는 리베이트를 대놓고 바라는 의료인들은 참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리베이트 받는 것을 당연하다 여기는 의료인들이 일부라도 있다면, 리베이트 받는 의료인들도 제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필요성도 설득력을 얻게 된다.때마침 국회에 계류 중인 의료법 개정안을 국회상임위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특히 의ㆍ약사 출신 보건복지위원들부터 힘써야할 몫이 될 것 같다.

그래야만 달콤했던 리베이트가 독이될 것이라는 것을 리베이트 받는 의료인들이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미 지난번 방영된 kbs 1‘시사기획 쌈’이 전국적으로 1700여 곳의 병·의원에 리베이트가 광범위하게 제공된 것과 공중보건의사 20여명이 제약사로부터 리베이트를 받는 등 일부 제약사의 불법 리베이트를 집중 보도해 파장을 일으킨바 있으며, 이번 방송 또한 제약업계에 먹구름을 줄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