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인터뷰

“류마티스 특성화 병원 만들 것”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호연 교수


“류마티스 관련 기초, 임상과가 협조해 성과를 낼 수 있는 방향으로 갔으면 한다.”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호연 교수는 20일 간담회에서 “근골격계 연관된 임상과가 한데 모여 연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단시간에 이루기 힘들어도 점차적으로 재활, 정형 등 류마티스 관련과와 협조해 갈수 있는 분위기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연구를 하면서 진료를 할 수 있다는 점. 정부과제도 하고, 이런 부분 계속적으로 할 수 있다는 생각게 건대병원에 왔다”며 “건대병원 연구인프라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지만 면역학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초 임상과 연계한다면 내가 면역학을 30여년 이상을 했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히 가능성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장소인프라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나타냈는데 “임상의사 연구 공간이 부족하다. 그렇지만 기초과학 교수들 이제와 자리 잡기 시작했기 때문에 시기적으로는 나쁘지 않다”며 “같이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면 한다. 아직 기초연구자와 만난적은 없고 진료환경적응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진료분야에서 확장되고 연구 분야도 동반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특히 연구 면역학 분야에서 기초와 임상 연계를 강화해서 다른 대학보다 특성화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센터와 관련해 “임상간호사나 주사, 모니터링 등 전문인력도 부족해 센터는 근골격계를 코디네이션 한 상태에서 필요하며, 관련과들이 하나의 섹터를 구성해 협조해 나가면 좋겟다”고 밝혔다.

기존에 진행하던 연구에 대해서는 “이전 병원에서 하던 연구는 계속해서 할 것이다. 성모병원 연구센터 교수들과 공동연구 당연히 해야 할 것이라 생각하고, 같이 일하는 것 꼭 필요하다”며 “지속해온 연구를 독립적으로 하기보다는 건대병원 인프라와 이전병원과 상호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3-4년 결과 나온 것도 있고 해야할 것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 대학, 면역학자들과 같이 할 수 있는 것을 모색해야한다. 서울성모에서 하지 못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건대병원과 지속해 시너지 누릴 수 있는 것, 두 가지 정도는 연구를 연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암 유발 방어인자의 세포 분화에 결정적 조절역할을 하는 유전자가 관절염 치료에 효과 있다는 것 최근 밝혀졌는데 후속 연구 텍사스대와 할 것”이라고 밝히고 “그 이전에 가톨릭과 건대가 연계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또 “한양대는 류마티스 분야가 튼튼한 병원으로 연구실적, 팀 구성도 좋고, 가톨릭 역시 지난 30년 인프라와 인적을 쌓아왔다. 반면 건대는 이제 시작에 불과해 할 일 많은데 정형외과 협조적인 모습 긍정적이고 연관과와 잘 연계 되는 모습을 보여 발전의 여건은 돼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김호연 교수는 진료 환경에 대해 아쉬움을 밝혔다. 김 교수는 “항 TNF 제제 나오면서 치료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 지체 부자유자 급속히 줄어든 반면 실제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는 늘었다. 숨어있는 환자도 나오고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치료기간도 늘어 환자도 점점 늘고 있는 분위기다”라며 “항 TNF 제제 사용할 때 정부가 엄격히 제제하는 등 치료에 너무 개입하고 있어, 제한 때문에 억지로 진료를 맞추게 되고 정직한 진료에 어려움 있다”고 토로했다.

특히 “이러한 정부의 규제는 신약 임상 연구에서 좋은 데이터 내는데 지금은 어려움 있다. 정부 가이드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연구 의미 퇴색된다”고 지적하고, “정부 지원이 잘되고 있기 때문에 진료를 의사 자율에 맡겨주면 환자 원하는 방향으로 진료할 것이고 편하게 진료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 도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류마티스 질환은 암하고 비슷하게 신약개발이 빠른 분야중 하나로 후속 신약도 20여가지 기다리고 있는데 정부의 과제 개발이나 지원은 부족하다“며 ”포괄적 지원뿐 아니라 개별·구체적, 목표지향적인 지원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