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대수가 결정, 병원계-시민단체 모두 불만
복지부가 10일 건강보험정책심의원회에서 기존에 제시했던 안과 비슷한 식대 수가를 결정하자 시민단체와 병원계 모두가 반발하고 나서 본격적인 보험적용까지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이날 복지부는 일반식의 기본식 가격은 3390원으로 하고 가산금액은 선택메뉴 620원, 직영가산 620원, 영양사 가산 550원, 조리사 가산 500원으로 구성해 최고 5680원을 받을 수 있게 했다.또한 치료식은 기본식을 4030원으로 하고 가산금액은 직영가산 620원, 영양사 가산과 조리사 가산을 등급을 나누어 지급해 최고 6370원까지 받을 수 있게 했다.한편 이 같은 건정심 결과에 대해 병원계는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분위기이다.김철수 중소병원협의회장은 “적어도 지금보다 20%는 인상된 수가가 책정돼야 한다”며 “지금 수가는 병원계의 적자가 가중시킬 뿐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시민단체가 병협이 식대원가를 부풀렸다고 제기한 주장에 대해서는 “병원경영 여건을 전혀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김 회장은 “정부의 뜻대로 밖에 될 수 없는 건정심의 구성도 문제다”고 지적하고 “앞으로는 이정도의 수가로 어떻게해야 병원이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는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덧
- 이상훈, 최지현 기자
- 2006-04-11 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