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7,29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가 한시적 비대면 진료 법제화 시도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방안’ 고시의 즉각적인 폐지에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대한약사회는 윤석열 당선인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8일 비대면 진료 약배달 플랫폼 업체를 방문해 “산업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재진 환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 법률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즉각적인 철회를 요청한다.”고 전했다. 약사회는 “보건복지부가 2020년 2월 공고한‘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방안’ 고시는 졸속이며 허점투성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진료를 예외적으로 허용한다면 그 내용이 체계적이고 세밀해야 하며, 보건의료 전문가의 충분한 의견을 수렴했어야 한다.”며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방안’ 고시는 질병 치료와 상관없는 증상까지 무제한적으로 처방을 허용해 의료쇼핑을 부추기고 보건의료체계의 근간을 뒤흔들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한시적 고시를 악용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난립하고 있고, 불법·과장광고를 통한 환자 유인행위가 도를 넘어서고 있음에도 고시 시행 2년 동안 정부는 모르쇠로
-- 10년간 안전성 및 효능성 추적한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스텐트 기술을 선보이며, 회사의 국제적 성장 여정에 더 큰 동력 부여 뉴델리 및 독일 헤힝엔, 2022년 4월 19일 /PRNewswire/ -- 심혈관 중재시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혁신적인 심혈관 의료기기를 개발 및 제조하는 세계적인 기업 Translumina가 유럽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 시장에서 자사의 최신세대 DDCS(Dual-Drug Polymer-free Coated Stent)인 VIVO ISAR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Translumina는 심혈관 중재시술 분야에서 혁신과 동일시되는 기업이다. 이번 발표로 인해 Translumina의 국제 심혈관 포트폴리오가 더욱 강화됐다. 여러 연구를 통해 폴리머가 염증을 유발하고, 스텐트 혈전증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그러나 폴리머는 약물 전달 및 방출 매개체로써 약물 방출 역학을 조절하기 때문에, 현 세대의 약물 방출 스텐트(DES)에서는 필수 요소다. 최초의 DDCS 기술이 적용된 VIVO ISAR에서는 약물 방출 역학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안전성이 우수한 스텐트를 사용한다. V
심혈관질환 사망의 세 번째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이하 VTE) 발생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국내 VTE 연간 발생률은 국내 인구 10만명당 2009년 23.9명에서 2016년 42.2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의 연간 발생률이 20-39세 대비 13-14배, 40-59세 대비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공중보건 문제로 꼽힌다. 이 가운데 한국BMS제약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양사가 공동으로 판매하는 경구용 항응고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사용상 주의사항에 암 동반 VTE 환자 치료에 대한 내용이 2021년 12월 30일 자로 새롭게 추가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허가사항 변경으로 엘리퀴스는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이하 DVT) 및 폐색전증(Pulmonary Embolus, PE)을 포함하는 질환인 VTE 발생과 출혈 위험이 높은 암 동반 환자에 재발성 VTE을 예방하는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국내 허가사항 기준으로 암 동반 VTE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비(非)-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Non-
대한간호협회는 19일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한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을 공포·시행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법령상 ‘자격’만 규정돼 있는 채 업무범위가 없었던 전문간호사의 업무가 구체적으로 마련됐으며, 특히 분야별 전문간호업무와 주사, 처치 등 분야별 진료지원에 필요한 업무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전문간호사 역할 수행에 법적인 근거를 마련했다. 특히, 이번 개정안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을 체계적·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질 관리 업무’의 위탁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증가하는 간호서비스 수요에 부응하는 우수한 전문간호사를 배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간호협회는 “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가 구체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전문간호사 자격 제도가 활성화되고 전문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전문의료인력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는 2018년 3월 개정된 ‘의료법’ 제78조에 따라 보건복지부령에서 정하도록 했다. 이후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대한간호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보건의료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3년 1월부터 시행될 ‘중증 진료체계 강화 시범사업’ 참여기관 공모 접수를 5월 2일에 시작한다고 밝혔다. 중증 진료체계 강화 시범사업은 상급종합병원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고, 협력의료기관과 유기적인 진료 협력체계를 구축·활성화하는 제도이다. 그간 외래 환자의 대형병원 쏠림 지속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역량이 외래 경증질환 진료에 분산돼,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 치료·연구 등에 집중하기가 어려웠다. 상급종합병원의 2010년 대비 2019년 외래 내원일수는 25% 증가(종합병원 이하 13.7% 증가)했고, 진료비 중 외래진료비가 3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환자는 집에서 가까운 병원 대신 멀리 있는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면서 이동·대기시간, 교통비 등 불편함이 추가로 발생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별 기능 정립을 통해 합리적인 의료전달체계를 구축하며, 상급종합병원·협력의료기관의 동반 성장을 이루기 위해 이번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상급종합병원은 외래진료 감축을 통해 ▲중증 진료를 강화하고 의료 질을 향상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진료협력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성과 평가결과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소폭 상승해 다시 10만명을 넘어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1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4명, 사망자는 13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135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만 8484명, 해외유입 사례는 20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1만 850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47만 1940명(해외유입 3만 1618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19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786명, 2차접종자 974명, 3차접종자 8380명, 4차접종자 5만 47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1만 3799명, 2차접종자수는 4452만 7909명, 3차접종자수는 3301만 7514명, 4차접종자수는 49만 1895명이라고 밝혔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병원장 유경호)은 ‘영상검사 배정 최적화 AI 모델’(사업총괄책임자 이미연 한림대성심병원 커맨드센터장) 개발을 위해 4월 7일 ㈜피플앤테크놀러지와 2022년 AI바우처 지원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맺었다. 영상검사 배정 최적화 AI 모델은 환자마다 다른 MRI 검사시간을 AI가 예측해 검사와 검사 사이 공백 시간을 최소화하는 환자맞춤형 예약 시스템이다. 최근 MRI 건강보험 적용에 따라 영상검사 건수가 급증하고, 이로 인해 병원마다 MRI 검사 예약업무가 포화상태에 있다. 이 모델이 적용되면 환자는 검사 대기시간이 줄고 병원은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두 기관은 7개월간 영상검사 배정 최적화 AI 모델을 개발해 ㈜피플앤테크놀러지의 병원 효율화 AIoT 솔루션인 인도어플러스 스마트케어(IndoorPlus+ SmartCare)에 탑재시킬 계획이다. 인도어플러스 스마트케어(IndoorPlus+ SmartCare)솔루션은 의료기기들을 연동해 병원 내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플랫폼이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은 앞으로 ▲MRI 검사소요시간 예측 모델 ▲MRI 검사 배정 가능 슬롯 추출 모델 ▲환자 맞춤형 예약 추천 모델
유비스트가 제공한 각 제품별 원외처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매출 상위 50위를 기록한 제품들의 2022년 1분기 원외처방이 전년 동기인 지난 2021년 1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집계 결과 2021년 1분기 상위 50개 제품의 원외처방은 8420억원으로, 2022년 1분기 8649억원을 기록하면서 2.7% 증가했다. 특히 1만여개가 넘는 전체 의약품들의 매출은 2021년 1분기 3조 8745억원에서 2022년 4조 1248억원으로 6.5% 성장했다. ◆매출 상위 5개 제품, 순위 유지 성공원외처방 매출 상위 5개 제품들은 리피토, 로수젯, 케이캡, 플라빅스, 글리아타민의 순으로 순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리피토와 글리아타민은 원외처방이 감소하고 로수젯, 케이캡과 플라빅스는 매출이 증가해 희비가 엇갈렸다. 비아트리스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피토’는 2021년 1분기 49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 1분기 488억원을 기록해 1.8% 감소했다. 아직까지는 리피토가 타 제품들과 압도적인 매출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동일한 적응증의 로수젯에게 순위를 내줄 위기에 처해 회사 측의 대안 모색이 요구된다. 로수젯과 반대로
버스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70대 남성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소중한 생명을 구한 건양대병원(의료원장 배장호) 의료진 3명(이한별 임상병리사, 길은지 임상병리사, 이원혁 간호사)이 대전 서부소방서장(서장 김기선)으로부터 표창장을 수상 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3월 대전 중구를 달리던 201번 버스에서 70대 승객이 심근경색증으로 쓰러지자, 즉시 119에 신고하고 번갈아가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 이후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진 70대 남성은 이틀 만에 의식을 찾았고, 건강히 퇴원할 수 있었다. 김기선 서장은 “쓰러진 시민을 심폐소생술로 구한다는 것은 큰 용기와 희생정신이 있어야 하는 일”이라며, “투철한 시민의식으로 적극적이고 신속한 응급처치를 시행한 의료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조선대병원(병원장 김경종)은 지난달 30일 고용노동부로부터 ‘2022년 직업병 안심센터 운영’ 사업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되고 협상을 거쳐 지난 18일 최종 계약이 이뤄졌다고 19일 밝혔다. 사업의 목적은 직업성 질병 발병 환자가 병원 내원 시, 각 임상진료과 진료단계에서 업무기인성을 파악해 직업성 질병을 신속하게 발견, 추가피해를 예방하고 필요 시 원인조사 등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조선대병원 직업병 안심센터(센터장 이철갑,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직업환경의학과에서 전담해 운영하게 되며, 직업성 질병의 조기발견 및 예방은 물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조사와 수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자문 기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김경종 병원장은 “광주·전라·제주 지역의 직업병 안심센터로 선정되어 책임감이 막중하다”면서 “조선대병원 직업병 안심센터는 산업재해 예방과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해 관할지역 내 여러 병원들과 협력해 직업병을 찾아내는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조선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는 건강보험공단 지정 일반검진기관 및 고용노동부 지정 특수검진기관 등의 역할을 해오며, 2017년에는 전국 특수건강진단기관 종합평가에서
휴젤이 보툴리눔 톡신에 이어 중국 HA필러 시장 진출에 한걸음 다가서며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제패를 향한 행보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중국 의약품감독관리국(NMPA)로부터 HA필러 ‘더채움(수출명 Persnica, 중문명 붜안룬 铂安润)’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비수술’ 중심의 메디컬 에스테틱 산업이 빠른 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중국 역시 보툴리눔 톡신, HA필러 등 해당 시장의 가시적인 성장을 지속해 왔다. 특히, 휴젤이 새롭게 진출하게 된 HA필러 시장은 지난 2020년 약 9500억원(49억위안) 규모에서 2023년 약 1조 9300억원(100억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오는 2025년 약 3조원(157억 위안)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휴젤은 높은 잠재 시장 가치를 보유한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선점을 목표로 지난 2020년 10월 국내 기업 최초로 중국 톡신 시장의 품목허가를 획득한데 이어 같은 10월 HA필러 제품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서도 제출한 바 있다. 이후 지난해 2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수출명 Letyb
*빈소 광주 만평장례식장 201호, *발인 4월 20일, *010-2424-8158 코로나19로 인해 조문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심평원의 분석심사 선도사업을 대부분의 의사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심사·평가체계 개편 작업의 일환으로 ‘환자 중심, 의학적 근거 기반의 진료비 심사체계로의 전환’을 전면에 내세운 분석심사 선도사업을 시작했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는 18일 ‘진료비 심사제도 및 심사평가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의료인 인식조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20 전국의사조사 자료를 활용해 실제 진료하는 의사 4454명을 대상으로 현행 건강보험 진료비 심사제도에 대한 인식과 평가, 진행 중인 정부의 심사평가체계 개편방안에 대한 인지 여부 및 세부 방안에 대한 평가 수준을 조사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현행 진료비 심사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응답자의 84.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진료비 심사제도의 문제점은 6점(매우 부정)척도를 기준으로 진료비 심사 후 이의신청 등 행정절차 문제(5.33점), 심사기준의 의료자율성 침해 문제(5.29점), 심사기준 개발과 적용과정의 문제(5.28점), 심사 실명제 문제(5.23점), 심사 관련 위원회 및 운영방식의 문제(5.21점), 심사 후 조정 내역에
*18일, *빈소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4월20일, *(02)2227-7556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과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연수)은 18일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에서 서울대학교병원 협력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 협력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센터’는 공단과 협력기관인 서울대병원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건강보험 연구데이터 지원센터로 20석 규모로 운영된다. 이날 개소식에는 공단 강도태 이사장, 서울대병원 김연수 병원장 등 양 기관 임직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판식, 축사, 센터소개, 기념강연 등이 진행됐다. 공단은 의료데이터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선정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중 공단 연구용 DB 수요 최다기관인 서울대병원을 협력기관으로 선정했다. 양 기관은 작년 6월 ‘공단-서울대병원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협력센터 설치 및 운영’ 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지난 10개월간 긴밀하게 협력했고, 마침내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기술원(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내 분석센터를 개소할 수 있었다. 서울대병원이 보유한 비급여 진료, 검사결과 등 환자단위별 임상데이터와 공단이 제공하는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가명 결합해 연구를 수행한다면, 시간적 경과에 따른 효과를 평가할
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정창현)이 한의약 산업현황을 파악하고 의료서비스의 효율화를 위해 2021년 한의약산업 통계집을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통계집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교육개발원 등 각 분야의 주요기관이 발간한 자료집에 산재된 한의약 산업 통계자료를 정리해 한곳에 모았다. 세부내용으로 한의약산업 부문에서는 △약용작물과 의약품용 한약재 등 재배분야 △한약(생약)제제와 한의용 의료기기 등 조제‧제조분야 △의료인력 및 시설 등 서비스 분야를, 한방응용산업 부문에서는 △인삼류 △건강기능식품 △한방화장품 현황 등의 내용을 수록했다. 한국한의약진흥원은 앞으로도 한의약 관련 자료와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제공 편의를 위해 지속적으로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2021년 한의약산업 통계집>은 한국한의약진흥원 홈페이지(홍보센터/간행물/기획발간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18일 대한의사협회 외 일부 보건의료단체의 명의로 간호법 관련 신문광고가 게재된 것과 관련 “거짓정보로 간호법 제정취지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대한의사협회 외 일부 보건의료단체는 지난 15일 J신문 1면에 ‘간호단독법은 대한민국 의료를 무너뜨립니다’라는 거짓정보를 담은 광고를 게재한 바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이날 ‘대한의사협회 등은 거짓정보 담은 광고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을 내고 “간호법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간호정책을 통해 국민 누구나 지역에 상관없이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법으로, 오히려 대한민국 보건의료를 바로 세우는 법안”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국회에서 발의된 간호법안의 제안이유를 살펴보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간호정책 시행이 필요하나, 현행 의료법에는 이와 관련된 규정이 미비한 상태”라며 “이에 세계 대다수 국가와 같이 의료법과 별도로 간호사 등 인력에 관한 총괄적인 법률을 제정해 각종 감염병 퇴치 및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려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단독법이 불법의료로 국민건강을 위협한다는 광고는 거짓정보이자 국민에게 혼란만을 주는 완벽한 가짜뉴스”라며 “간호법안의 제안이유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이사장 강도태) 코로나19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과 감염병 학술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민·관 공동 연구의 연구자 공모를 4월 19일부터 5월 2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달 31일, 건보공단과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코로나19 전주기 자료와 전국민 국민건강정보를 결합한 코로나19 빅데이터를 연구기관에 개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자 공모는 국민적 관심 및 정책 중요도에 따라 선정된 △만성질환의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코로나19 감염 후유증 연구 등 6건의 과제에 대해 추진하며, 연구자는 연말까지 7개월 동안 연구를 총괄하게 된다. 연구자에게 제공되는 자료는 공단의 국민건강정보와 코로나19 자료를 연계한 DB이며, 데이터 개방 안전성을 위해 철저한 비식별화 조치와 별도의 연구심의 절차를 거쳐 공단의 폐쇄망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공모 자격은 관련 분야에서 박사학위 또는 전문의 자격 취득 후 경력 3년 이상의 국내 연구자이며, 건보공단 홈페이지에서 연구계획서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방문 또는 우편(전자우편 포함)으로 접수하면 된다. 공모의 세부 사항은 건보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및 모바일 앱 (The건강보
미용의료기기 전문회사 덱스레보가 개발한 세계 최초 액상 PCL(Polycaprolactone) 주사 GOURI가 2022년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모나코에서 개최된 제20회 AMWC(Aesthetic & Anti-aging Medicine World Congress)에서 아시아 최초로 AMWC Awards의 Collagen Inducer 부문 Best Injectable로 선정돼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AMWC는 세계 최고 권위의 글로벌 미용 안티에이징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전 세계 200여개 국가에서 피부과 전문의를 비롯한 업계 종사자 20000명이 넘는 방문객이 참가해 미용 안티에이징 관련 제품과 업계의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행사다. 덱스레보의 고우리가 모나코에서 개최된 제 20회 AMWC Awards Best Injectable; Collagen Inducer부문에서 수상했다. 덱스레보는 2021년 AMWC를 통해 세계 최초 액상 PCL 주사인 GOURI를 런칭했고, 올해 두번째 참석만에 AMWC에서 주관하는 AMWC Awards에서 아시아 최초로 Best Injectable 수상을 해, 세계 무대에서 기술력과 제품의 차별성을 인정받았
원외처방 규모 상위에 속하는 제약사들이 2022년 1분기, 전년 동기인 2021년 1분기보다 4.7%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가 2022년 3월까지의 원외처방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의하면 상위 제약사들은 2022년 1분기와 2021년 1분기 각각 2조 8944억원과 2조 7648억원을 달성했다. 268개 전체 제약사들은 2021년 1분기 3조 8745억원에서 2022년 1분기 4조 1248억원으로 6.5% 증가했다. ◆원외처방 상위 제약사, 5곳 중 3곳 감소 업계의 전반적인 성장과는 달리 상위 5개 제약사 중에서 2개 제약사가 매출이 감소했다. 그 중 한미약품만이 두자릿수로 매출이 증가했다. 전년 동기에는 1738억원을, 올해 1분기에는 1943억원을 달성하면서 한미약품의 원외처방이 11.8% 성장했다. 반면 종근당은 하락세다. 2021년 1분기에는 1561억원을 기록했으나 2022년 1분기에는 1487억원에 그치며 원외처방이 4.7% 감소됐다. 대웅제약은 2021년 1분기 1071억원에서 2022년 1분기 1141억원으로 원외처방이 6.5% 증가했다. 비아트리스는 소폭 하락을 맞았는데, 2021년 1분기에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