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심부전 이행 억제 대식세포군 발견
심근경색 합병증인 심부전으로의 진행을 막는 치료제 개발에 탄력을 줄 대식세포군이 발견됐다. 가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은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정연준 교수(의과대학장), 생화학교실 정승현 교수팀이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장기육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심근경색 후 진행될 수 있는 합병증인 심부전으로의 이행을 억제하는 ‘Trem2 유전자 발현 대식세포군’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심근경색 직후 염증 반응기부터 회복기까지 나타나는 면역세포의 특성과 역동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총 16 종류의 대식세포군을 발견했고, 이 중 ‘Trem2 유전자’를 발현하는 대식세포군이 ‘회복기’로 접어들 때 심부전 이행을 억제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Trem2 유전자가 발현한 대식세포군에 항염증 기능이 있고 가용성 Trem2 단백질을 분비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실제 심근경색 동물모델에 가용성 Trem2 투여군이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경색된 심장이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정연준 교수(의과대학장)는 “가용성 Trem2 치료법 개발은 현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