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부천시갑)과 대한노인회가 25년 국정감사에서 다뤄야 할 노인건강 주요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노인건강 3대 과제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서영석 의원이 지난 8월 5일과 28일 두 차례에 걸쳐 대한노인회에 요청한 2025년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다뤄야 할 노인건강 주요 문제 및 정책 방향 의견서에 대해 29일 대한노인회가 공식적으로 의견서를 보낸 결과다. 대한노인회는 서영석 의원에게 보낸 의견서에서 ①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적절한 치료환경 조성, ②고용량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③요양시설 입소 고령자 치아관리 등 3대 노인건강 정책과제를 주문했다. 먼저 COPD는 환자 10명 중 9명은 60대 이상으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대한노인회는 의견서에서 조기진단을 강화하고, 치료약제의 조속한 급여화를 촉구했다. 서영석 의원은 21대 국회 때부터 COPD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뤄왔고, 22대 국회 2024년 국정감사에서도 ‘COPD 조기진단 필요성’을 지적한 이후 2025년 6월 토론회 개최를 통해 ‘COPD 환자의 치료환경 개선’을 모색하는 등 지속적으로 의정활동의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 중인 사안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전환기를 맞고 있지만 아직 의료적·사회적 준비가 미비하다는 지적과 함께, 전례 없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특히 취약한 고령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김남순 선임연구위원은 16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21회 메풀 전산초 명예교수 기념 학술대회’에서 ‘고령 건강과학 연구에 대한 방향과 제언’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간호나 보건의료 연구자들은 ICT 등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을 갖고 결합된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근골격질환, 정신신경질환 등 고령자 건강문제는 복합적이기 때문에 노화나 질병치료 중심의 연구보다 고령자 중심의 연구가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 김 연구원의 생각이다. 김 연구원은 “환자중심의 통합적인 케어와 일차의료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시스템이 조정되고 연계되는 부분에서 많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며 “접근성을 높여 노인에게 다양한 케어를 제공하고 대부분 여성들이 담당하고 있는 돌봄에 대해 공식화시키고, 돌봄제공자들의 어려움을 줄이는 데도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국내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