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환자의 저혈량성 쇼크를 동반한 골반 골절에 양측 내장골 동맥 결찰술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대학교병원은 외상외과 최경학 교수팀이 이같은 연구 결과를 외상치료 및 관리를 다루는 국제 학술지 SCI(E) 국제 학술지‘Injury(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are of the Injured)’ 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최경학 교수와 울산대학교병원 외상외과 및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5년간 골반골 골절 환자 중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색전술을 시행할 수 없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양측 내장골 동맥 결찰술을 시행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동맥 결찰술을 시행한 결과, 사망률이 10%로 감소하는 등 높은 치료성적을 얻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둔부 괴사 ▲하지 신경 장애 ▲장 허혈 등 부작용도 적게 나타났다. 또한, 양측 내장골 동맥 결찰술의 결과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 환자의 생존율 및 수술 관련 합병증 발생률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기존에 외상환자와 관련된 내장골 결찰술 출혈 감소량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고, 이번 연구 결과는 비교적 많은 수의 환자를 1년 이상 추
지난 2021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외상환자 37만 명 중 중증외상환자는 1만4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소방청과 질병관리청은 중증외상 구급활동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7일 ‘제2차 중증외상 구급품질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병원 전 단계의 중증외상환자 처치를 담당하고 있는 소방청과 중증외상 조사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질병관리청이 공동으로 마련했다. 특히 이번 워크숍에서는 119구급대가 이송한 중증외상환자의 최종 진료 결과 환류 방안 마련과 환자 처치 능력 향상 및 헬기 이송 활성화를 집중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중증외상환자 생존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지역별 중증외상 헬기 이송체계를 수립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양 기관은 기대하고 있다. 이흥교 소방청장은 “중증외상환자의 생존률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중증외상 응급의료체계가 중요하다”면서 “소방청의 119구급대 역량 강화 노력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조사감시사업은 과학적 근거 기반의 중증외상 관리대책을 마련하는 시작점이므로, 안정적인 조사 운영으로 중증외상 발생과 지역사회 응급의료대응 역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