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일 서울 엘타워 오르체 Ⅱ홀에서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 10주년 성과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2022 보건산업 성과교류회’와 함께 진행됐으며, 올해로 사업 추진 10주년을 맞이하는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의 그간 성과를 공유하고, 의료기기산업의 미래 발전방향과 이를 위한 핵심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은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의료기기 산업 전주기(연구개발, 규제 및 인허가, 기술경영, 마케팅·사업화)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13년부터 동국대를 시작으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현재 3개 대학(동국대·성균관대·연세대)에서 운영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위 3개 대학에서 총 3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했으며, 132명의 전일제 졸업생 중 114명 취업하는 등 높은 취업률(98.3%)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취업자 중 48.6%는 국내 제조업에, 23.3%가 식약처 또는 공공기관에 취업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주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 10주년 성과 포럼에서는 사업 10주년 도래에 따른 우수 성과를 공유하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업계 전문가들이 특성화 대학의 타 지역 진출과 대학원간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4일 특성화대학원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개최한 성과 토론회에서는 KAIST 기술경영학부 정명진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산업 전문가 8명이 모여 바이오헬스산업 변화에 따른 융·복합 인력양성 및 특성화대학원의 발전 방향성에 대해 토론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엄승인 본부장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촉구하는 한편 각 특성화대학원별로 특화된 우수한 커리큘럼들에 대해서는 서로 교류할 것을 제안했다. 엄 본부장은 “수도권 위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충북대마저 사업이 중단돼 지역 불균형이 있다”며 “지역사회 발전과 지방의 사업체, 근무자들의 전문지식 역량 강화 측면에서도 지방의 대학원에 추가적인 지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분야별 미스캐치 뿐만 아니라 지역 차원에서도 인력 양성에 대해 미스매치가 일어날 수 있다. 지방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역량 강화, 지방 유치 및 현장에서 찾고자 하는 인재 양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기업들이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가진 것을 공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