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확한 전산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보험 정책이 요구되는 시대. 심평원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2일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보건의료 성과 향상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주제로 심포지엄 열어, 국내외 전문가와 함께 데이터 활용과 해외 국가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미국과 대만의 건강보험 데이터 활용에 대한 사례가 발표됐고, 국내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방향과 개선점도 논의됐다.
이날 토론자로 참여한 김소윤 연세대 교수는 국내 건강보험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면서 심평원 데이터 활용이 각 기관과 잘 연계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소윤 교수는 “우리나라는 전 국민 의료보험 의료급여는 누가 대상자인지 구분이 모호하다”며 “어떤 이를 케어해야 하는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외국인에 대한 보험급여와 비용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서도 치료보다는 예방 위주로, 각 기관 연계를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심평원 빅데이터가 향후 예방적 치료·관리에 대한 연구 부문과 바이오 연구 분야에 쓰인다면 불필요한 비용을 없앨 수 있을 것”이라며 “통계청, 공단 등과 자료를 잘 연계해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의료 분야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각 업체·기관 마다 다른 분류 기준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도 언급됐다.
보건복지부 신혜경 사무관은 “복지부, 식약처, 제약사 등 보건의료 관련 기준 데이터가 통일되지 않아 혼란이 있다”며 “정보를 표준화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해야,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복지부도 이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 사무관은 “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가 전문인력과 개인정보 부분인데 특히 예민한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를 어떻게 보관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도 보완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