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지난 2013년 병의원을 찾은 건강보험 진료환자 수 5만 8,121명 중 66%가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 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며 대개 초기 아동기에 발병해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특징을 지닌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과다활동을 수반한 주의력결핍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2년까지는 증가했고 2013년에는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현상은 2013년 4월 1일부로 적용된 보건복지부의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상담 시 건강보험 청구절차 개선으로 인한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공단은 밝혔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과다활동을 수반한 주의력결핍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실인원은 2009년 5만1천명에서 2013년 5만8천명으로 약 6천2백명(12.06%)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감률은 2.89%를 보였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10대 진료실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에는 전체 환자 중 10대 환자가 38,307명으로 65.9%를 점유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ADHD의 인구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08배 (107명→116명, 연평균 증가율 2.17%) 증가했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인구 10만명당 10대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28배(501명→640명, 연평균 증가율 6.3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2013년에 남성이 46,580명으로 여성 11,541명에 비해 약 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ADHD 진료실인원 중 80.14%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3년 기준으로 ‘ADHD’ 실진료환자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10대 남자가 30,556명으로 52.57%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0대 미만 남자가 23.73%(13,795명), 20대 남자가 2.80%(1,625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을 분석해본 결과, 연평균 증감률은 10.58%이고 2009년 대비 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49.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과대학교 강남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호석 교수는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인 ‘ADHD(F90.0)’ 증상 및 관리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