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전에 실시될 것으로 보였던 병협에 대한 복지부 정기감사가 내년까지 미뤄질 것으로 보여 이를 두고 회원들(협회 소속 병원장)의 반발이 예상된다.
특히 지난 병협 임총이 정족수 미달로 무산돼 유 회장의 협회비 유용 의혹에 대한 규명이 이뤄지지 못함에 따라 회원들의 불만이 고조된 상태라는 점에서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보건정책팀 관계자는 병협 감사 시기와 관련 “산재돼 있는 일이 많아 언제 감사가 진행될지 모르겠다”며 “현재로서는 올해 계획된 감사일정은 없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이라도 확실히 진행되기는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아직 계획이 없어 뭐라고 답하지 못하겠다”며 즉답을 회피했다.
만약 감사가 내년으로 미뤄질 경우 유태전 회장의 임기가 내년 5월 만료된다는 점에서 이번 정기 감사가 형식에 그칠 수 있고, 5월 이후까지 연기되거나 무산되게 되면 임기만료에 따라 의혹 규명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병협은 이 같은 복지부 감사에 대한 언론의 관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병협의 한 고위 관계자는 “자꾸 유용 의혹을 제기하고 있지만 유용한 것이 아니다”라고 못박고 “이번 감사는 정기감사일 뿐 회계감사와는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한편 실무 관계자는 “병협이 법정단체이기는 하지만 복지부 산하기관은 아니다”라며 “따라서 병협이 복지부의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단체도 아닌 만큼 이번 감사가 병협 회계에 대해 직접적으로 추궁할 근거는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병협의 이 같은 주장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터무니 없는 주장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임총에 참석한 바 있는 서울의 한 병원장은 “유용한 것이 아니라는 병협측의 주장은 유 회장이 유용의혹이 제기된 액수를 지불하고 사임하겠다고 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라며 “하지만 유 회장의 측근들로 정족수를 채운 상임이사회에서 유 회장의 사표를 반려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회장이나 감사의 사표 수리는 총회에서 할 일인데 상임이사회에서 결정했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병협 집행부는 이번 사태를 무마하려고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의 감사가 지연되는 것과 관련 “산하 기관에서 임원이 2억이라는 규모의 돈을 개인 유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데 이를 좌시하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며 “이는 복지부의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성토했다.
이 병원장은 또 “복지부는 산하 기관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있고 회원과 회원의 회비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며 “의혹에 대해서는 즉시 감사를 실시해 행정조치를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내년 5월 유 회장의 임기가 끝난 다음에는 개인고발로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감사가 아무 소용이 없다”며 “이 문제가 검찰에서 조사될 때는 감사 담당기관인 복지부에도 분명히 불똥이 튈 것”이라고 예상했다.
병협에 대한 복지부의 정기감사가 연기된 사실이 이번 병협 사태가 일단락되는 계기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사태의 시발점이 될지 주목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복지부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5-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