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셀트리온 올해 1분기 매출액 2217억원, 영업이익 774억원

전 분기 대비 이익 턴어라운드 성공..."트룩시마·허쥬마 유럽시장 안착에 따른 결과"

셀트리온은 연결 기준 매출액 2,217억원, 영업이익 774억원을 기록한 2019 1분기 경영실적을 잠정 공시했다고 9일 밝혔다.


2019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대비 8.6% 감소했다. 1공장 부분 가동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영업이익율은 34.9%로 전분기 대비 16.8%포인트 증가해 이익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셀트리온측은 “2017 2분기 유럽에서 출시한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와 2018 2분기 유럽 출시한 유방암위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허쥬마가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잡은 것이 이익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2018년 말 IQVIA 기준 램시마는 57%, 트룩시마는 36%, 허쥬마는 10%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해 오리지널의약품은 물론 경쟁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을 압도하고 있다.


또 다른 이익 증가 요인으로는 램시마SC의 공급이 본격 개시된 점을 꼽았다. 지난해 11월 유럽 EMA에 허가를 신청한 램시마SC는 최종 판매 승인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생산 및 물류 유통 일정을 감안해 이미 공급이 시작된 상태다.


다만 1공장 부분 가동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매출액은 전 분기 2,426억원 대비 8.6% 가량 줄었다. 회사측은 1공장 개선작업 및 증설 연계 작업을 완료해 2월 초부터 기존 5만 리터 설비의 생산을 본격 재개했으며, 추가 증설 중인 5만 리터 설비도 올 하반기 상업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램시마SC 제형 유럽허가, 신시장 개척을 위한 중국 진출, 그리고 케미컬의약품 사업 본격화를 올해 주요 모멘텀으로 삼았다.

회사측은 유럽에서 램시마SC가 상업화되면 적정 체내 약물농도를 유지관리하는투트랙 치료옵션(Dose Escalation)’을 제공할 예정이다. 의료계의 수요를 한층 확대할 수 있으며, 직접 생산-직접 유통을 통한 원가경쟁력까지 확보해 수익성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램시마SC TNF-α 제품군 내 유일한듀얼 포뮬레이션(Dual Formulation)’ 제품으로 연내 유럽 EMA 승인 후 순조로운 유럽 시장 진입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미국 FDA와는 램시마SC의 임상 1/2상을 면제하고 3상만 진행하는 것으로 최근 IND 승인을 받았고, 2022년 미국 출시를 목표로 임상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중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합작법인도 설립한다.


셀트리온은 합작법인을 통해 자사 바이오시밀러(램시마트룩시마허쥬마) 중국내 임상, 허가 등의 개발을 진행하며, 중국 내 제품 판매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중국 성정부 지원하에 허가 등 시장 진입 장벽을 최소화한 상황이며 조기 시장 진입을 위해 다각도로 시장을 분석하고 있다.


또 회사는 재무적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유치해 중국 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설비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설비가 추후 셀트리온의 위탁 생산 기지로 활용된다면 시너지 효과가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종합제약사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케미컬 사업에도 본격 뛰어든다.


셀트리온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FDA로부터 HIV 치료제인 테믹시스와 항생제인 리네졸리드 등 개량신약과 제네릭 의약품 판매 승인을 받으며 글로벌 케미컬 사업을 본격화했다.


회사는 다품종 고부가가치 케미컬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는 계획이다. HIV치료제, 결핵, 심혈관계질환 등의 자체 제품 개발은 물론 미국 판매 경쟁력 확보를 위한 ANDA(미국 제네릭 허가권)매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HIV치료제를 중심으로 국제 조달 시장 공급에 속도를 내 케미컬의약품 매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의 선전과 램시마SC 사전 물량 공급으로 이익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하반기에도 램시마SC EMA 승인, 중국 합작법인 설립 및 글로벌 케미컬 사업이 본격화하는 등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지속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