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줄기세포의 재생력을 40배 이상 향상시키는 주요 기전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가톨릭의대 기능성세포치료센터 오일환 교수팀은 대표적 성체줄기세포에 해당하는 혈액줄기세포가 몸 안에 주입된 후 이들 주입된 줄기세포의 재생력을 초기에 결정짓는 주요 기전을 찾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오 교수팀은 “3년간 쥐 실험을 통해 STAT3라는 세포 내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변형 유전자를 사용해 줄기세포의 재생을 현격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전하며 “이 결과를 줄기세포에 대한 유전자 치료방법으로 적용한 결과, 암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몸 안에서 40배 이상 증가된 줄기세포를 재생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안정성은 증식력이 약한 것이 한계요인으로 지적돼 왔던 터라 성체줄기세포의 증식과 재생력을 조절하는 기술은 세포치료에서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다.
이에 미국, 캐나다, 일본을 중심으로 해당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이뤄지고 있다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줄기세포의 재생력의 증감을 유도할 수 있는 핵심 메커니즘이 처음으로 규명된 것이다.
오일환 교수는 “그동안 국내에서 세포치료를 환자에 적용하는 것은 활발히 이뤄져 왔으나, 성체줄기세포에 관련된 핵심기술이 부족한 상황이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성체줄기세포 분야에 있어서도 세계적인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된 만큼 앞으로 여러 종류의 성체줄기세포에서도 이와 유사한 핵심기술개발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는 BLOOD祉 4월 인터넷판에 게재됐으며, 현재 미국과 일본에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다.
최지현 기자(jhchoi@medifonews.com)
2006-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