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물질 첫 개발

지방간 발생 억제에 필요한 세포 신호전달 규명

국내 연구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특히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세계 최초로 규명해 주목된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이인규(51세) 교수팀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기업(53세) 교수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박근규(37세)교수팀은 ‘알파-리포산’이라는 물질이 간에서 지방합성을 억제해 지방간을 치료한다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당뇨병 등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심각한 간 질환으로 비만 등으로 인해 체내의 중성지방이 증가되고 특히 간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이 증가해 지방간염·간경화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 치료·예방이 필요하나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를 위해 메트포민(metformin)이나 PPAR-γ 리간드와 같은 당뇨병 치료제가 AMPK라는 세포 내 에너지 센서를 활성화시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치료에 시도되고 있으나 효과는 미미하다

현재까지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치료는 없으나 다만 식사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한 체중감량 등의 기본적인 치료법만이 권고되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지방간을 치료하는 물질로 알파-리포산을 발견했으며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했다.

알파-리포산은 AMPK 활성 물질인 메트포민과 같은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AMPK를 활성화시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 이외에 LXR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지방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SREBP-1c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번 연구결과에 적용된 알파-리포산은 약물의 독성 및 부작용 면에서 문제가 없다고 규명된 약물로서 조속한 임상시험을 거쳐 실제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2004년 7월에도 알파 리포산 약이 식욕억제·체중감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세계적인 의학잡지인 네이처 메디신지에 발표한 바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 알파리포산의 비만증에 관한 제2상 임상실험을 경북대학교 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에서 진행하고 있다.

이인규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조건에서 지방간의 발생과 이를 억제하는 물질의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규명함으로써 지방간, 지방간염, 간경변증 등 대사성 간질환의 발병 원인을 밝히고 이의 임상적용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간질환 분야 권위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 인터넷판 8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알코올 섭취력은 거의 없지만 알코올성 지방간과 유사한 간 조직 소견을 가지는 질환으로 지방간에서부터 지방간염, 간경변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병변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하여 비만, 당뇨병, 고혈압, 지질대사이상 등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음이 입증됐고 그 중에서도 비만이 중요한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알파-리포산
=세포내 활성산소 제거, 내인성 항산화제 재생, 산화적 손상 복구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서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호흡효소의 보조 인자로서 작용한다.
임상에서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에 사용되고 있다.

* AMPK
=세포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세포내 에너지 고갈 상태에서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AMPK는 지방산의 베타-산화(beta oxidation)를 증가시키고 지방산의 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AMPK에 의한 지방산 합성 억제의 주된 기전은 SREBP-1c라는 지방합성 조절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함에서 비롯된다.

*LXR(Liver receptor X)
=간 조직에서 많이 발현하는 유전자로서 SREBP-1c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