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지방 섭취가 유방암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국내 유방암 전문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이번 연구결과로 인해 그 동안 우리나라 여성에서 유방암이 왜 급증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 또한 풀리게 됐다.
특히 연구진은 건강에 좋은 지방으로 알려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이 높은 경우 혹은 중성 지방(Triglyceride)이 낮은 경우 유방암에 덜 걸린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했다.
이는 과거에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던 우리나라 유방암이 지금은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한국은 물론 아시아 각국의 유방암 예방과 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이 예상된다.
2008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 발표에 따르면 유방암 발생 건수는 1999년 5,744 건에서 2005년 9,898 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 교수와 국립암센터 김연주 박사는 지난 15년 이상 서울의대 노동영 교수, 강대희 교수 및 서울아산병원 안세현 교수 등과 다기관 공동연구로서 대규모 유방암 환자-대조군의 결과를 수행해 왔다.
이 연구 보고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서 확진된 유방암 환자 690명과 138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연구 보고에서는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높으면 유방암 위험도가 반 이하로 감소한다. 특히 폐경 이전의 여성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분명한데, 구체적으로는 혈중 HDL-C 농도가 50mg/dL 미만으로 낮은 집단에 비해 60mg/dL 이상으로 높은 경우 유방암 위험은 0.49배로 감소하고 있다. 중성 지방(TG)은 150mg/dL 미만으로 낮은 군에 비해 150mg/dL 이상 높은 여성에서 1.35배 유방암 위험도가 증가했다.
이들 두 지표를 복합해 본 결과 HDL-C가 50mg/dL 이상이면서 동시에 TG가 150mg/dL 미만인 여성에 비해 HDL-C가 50mg/dL 미만으로 낮으면서 동시에 TG가 150mg/dL 이상으로 높은 여성은 유방암 발생 위험이 1.4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C의 정상 기준치는 50, TG의 정상 기준치는 150)
이러한 현상은 폐경기 이전 여성에서, 그 중에서도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 이는 혈중 지질이상이 비만도와 폐경여부에 따라 유방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
젊고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서 유방암이 증가하는 원인의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보고 가치가 크다.
특히, 유방암의 치료 후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여성호르몬 수용체(에스트로젠 / 프로게스테론) 발현 여부와 혈중 지질 이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도 흥미롭다.
유방암 예후가 가장 좋지 않은 경우로 알려진 ER/PR 모두 음성인 유방암 여성에서 HDL-C가 50mg/dL 미만으로 낮으면서 동시에 TG가 150mg/dL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 유방암 발생 위험이 가장 높아 무려 2.2배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대규모 역학연구 결과로 규명된 첫 연구 결과이다.
유방암 발생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소비풍조의 만연에 의해 야기된 개인습관의 변화, 특히 사춘기 시절의 비만이나 흡연 등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향후 우리나라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전통적 가치관의 퇴조에 따라 수반된 만혼현상, 임신 및 수유의 기피성향 그리고 독신주의의 팽배현상 등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임신-분만 요인은 암을 사전에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조절이 불가능한 요인이어서 그 동안 유방암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학계에서는 이번 연구결과로 아시아권 국가의 유방암 급증요인으로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고단백 지질의 이상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건강에 해로운 지방식을 줄이고 야채나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예방 전략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 결과는 국제적 저명 학술지인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암 역학과 생체지표’, CEBP, Impact Factor = 4.642) 잡지 2월호에 게재됐다.